다음달 서울 입주 아파트 단 한곳 296가구뿐..전셋값 더 오르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는 11월에는 서울에서 단 1개 단지, 296가구 입주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서울과 경기도 입주물량이 각각 4만8,567가구, 12만1,519가구인 점을 고려하면 각각 48.5%, 19.4% 감소한 수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국 12월 입주 물량도 이전보다 33%가량 적어
2021년 입주 물량 급감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전세대란' 이어질지 대해 우려 높아"
직방에 따르면 오는 11월 서울에서 1개 단지, 296가구가 입주를 시작할 예정이다. 서울은 물량이 감소하는 반면 경기와 인천은 물량이 증가한다. 경기 8,225가구, 인천 2,917가구가 입주해 전월대비 28%, 100% 정도 늘어난다. 전국 입주물량은 1만 9,916가구로 전월대비 1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가올 12월은 약 2만 2,000가구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일반적으로 연말에 입주물량이 몰리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올해는 예년에 비해 적은 입주물량이 공급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올해 12월 입주물량은 이전 2016~2020년 12월 입주물량의 평균치(3만 2,677가구)보다 33%가량 적다.
여기에 오는 2021년에는 서울 등 수도권 입주 물량이 급감할 예정이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오는 2021년 서울과 경기도에서는 각각 2만5,021가구, 9만7,902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다. 올해 서울과 경기도 입주물량이 각각 4만8,567가구, 12만1,519가구인 점을 고려하면 각각 48.5%, 19.4% 감소한 수치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최근 전세난으로 주택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지는 가운데 12월 입주물량이 예년에 비해 적어 전세매물 공급에 큰 도움을 되지 못할 전망”이라며 “내년 입주물량도 올해(26만 7,513가구)보다 16% 정도 적을 것으로 보이면서 전세난이 이어질지에 대한 우려가 높다”고 말했다. /권혁준기자 awlkwon@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건희 별세] 이재용 등 상속세 10조원 훌쩍 넘을 듯…역대 최대 규모
- '5,000만원이면 수도권 아파트 사는데'…전세난에 '갭투자 유혹' 스멀스멀
- '4년전 대선 패배' 힐러리 '트럼프 재선 생각하면 구역질'
- '회사 주말등산' 억지로 갔다 사망…法 '업무상 재해'
- “어떻게 하면 조폭이 될 수 있나요”…모방범죄 부추기는 유튜브 콘텐츠
- 이낙연의 민주당, 왜 ‘이재명 무죄 확정’에 39시간 침묵했을까
- 조국이 감찰 중단 지시?…박형철·백원우의 '말말말' [서초동 야단법석]
- 월세마저 초유 급등…'기존 정책 유지' 금주 전세 대책 맹물?
- 남부지검장에 '적폐청산TF' 활동 이정수... '라임'수사 단독 총지휘
- [국정농담] '사면초가' 윤석열, 내년 대권으로 '국민봉사' 나설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