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0만원이면 수도권 아파트 사는데'..전세난에 '갭투자 유혹' 스멀스멀
일부 지역선 전세가 역전 현상도
정부 규제에 전세가 뛴 탓.."갭투자 자극"
<빠르게 좁혀지는 매매-전세가 격차>
25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매매가-전세가 격차가 빠르게 좁혀지고 있다. 서울 성북구 길음뉴타운8단지래미안 전용 59.9㎡는 지난달 6억 6,900만원에 전세 거래됐다. 최근 매매가(9억3,200만원)와 비교하면 갭 차이는 2억 6,300만원이다. 지난 2월 매매가(8억5,000만원)와 전세가(4억5,000만원) 시세 차이가 4억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격차가 1억3,700만원 줄어든 것이다.
서대문구에서도 인왕산현대 전용 59㎡가 지난 12일 4억 5,000만원에 전세 계약돼 매매가(7억 8,000만원 수준)와 격차가 3억원 수준으로 줄었다. 해당 단지는 지난 6월부터 시세가 급등하면서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가 커졌지만, 최근 전셋값이 급등하면서 그 차이가 다시 줄었다.
아예 전셋값이 매매가를 뛰어 넘은 단지들도 포착되고 있다. 비선호 지역의 구축 소형 아파트들이기는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돈 한 푼 들이지 않고 집을 살 수 있는 ‘무(無)갭’ 투자도 가능하다는 의미다. 서울 양천구 신월동 해태 전용 59.51㎡는 지난 9월 2억 8,000만원에 전세 계약돼 같은 기간 매매가(2억5,000만원)보다도 3,000만원 가량 높았다. 경기 안산 단원구 공작한양 전용 70㎡ 또한 지난달 전세 거래가(2억2,000만원)보다 8월 매매거래 가격(2억원)이 더 낮았다.
<커지는 갭투자 유혹···정부 대응 나설까>
매매가 상승폭이 주춤하는 사이 전세가가 훌쩍 뛰면서 시장의 ‘갭투자 유혹’은 더욱 커지고 있다. 각종 지표로 봐도 시장의 갭투자 증대 요인이 확인되고 있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 9월 서울의 전세가율은 53.6%로 8월(53.3%) 대비 0.3%포인트 상승했다. 경기도 아파트 전세가율 또한 같은 기간 68.7%에서 69.9%로 1.2%포인트 늘었다. 한동안 안정세를 보인 수도권의 전세가율이 전세가 급등으로 다시 반등하는 모습이 포착된 것이다.
정부의 강력한 대책으로 많이 줄어들긴 했지만, 규제가 없다면 시장의 갭투자 대기 수요는 풍부한 상황이다. 국토부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4월 투기과열지구 내 3억원 이상 ‘임대목적 거래’는 2만1,096건으로 전년 동기(9,386건) 대비 124.8%나 급증했다. 반면 본인 또는 가족의 실거주 목적 거래 비중은 지난해 66.8%에서 올해 56.2%로 줄어들었다.
서진형 경인여대 경영학과 교수(대한부동산학회장)는 이와 관련 “지난해 12·16 부동산 대책에서 시가 15억원 이상 아파트에 대한 전면 대출금지를 내놓는 등 강도 높은 대출 규제가 나오면서 주택 매입이 어려워진 사람들이 전세로 돌아서게 됐다”며 “전세 수요가 증가하다보니 전셋값이 오르고, 전셋값 상승에 자극받은 사람들이 갭투자를 재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갭투자 재점화 가능성을 조기 차단하기 위해 전세 시장 안정 대책을 이르면 이번주 중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월세 세액공제 확대,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 등이 거론되고 있다. 다만 신규계약에 대한 전월세 상한제 도입, 표준임대료의 조기도입 같은 ‘강경책’은 이번에 포함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권혁준기자 awlkwon@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건희 별세] 이재용 등 상속세 10조원 훌쩍 넘을 듯…역대 최대 규모
- 월세마저 초유 급등…'기존 정책 유지' 금주 전세 대책 맹물?
- 이낙연의 민주당, 왜 ‘이재명 무죄 확정’에 39시간 침묵했을까
- “어떻게 하면 조폭이 될 수 있나요”…모방범죄 부추기는 유튜브 콘텐츠
- 조국이 감찰 중단 지시?…박형철·백원우의 '말말말' [서초동 야단법석]
- 남부지검장에 '적폐청산TF' 활동 이정수... '라임'수사 단독 총지휘
- [국정농담] '사면초가' 윤석열, 내년 대권으로 '국민봉사' 나설까
- 2030에게 날아든 '영끌 주의보'...지금 당장 필요한 것은? [영상]
- '월드클래스' 증명한 손흥민, 케인 제치고 연봉킹 되나
- [이건희 별세] '불량 애니콜 화형식'으로 더 강해진 삼성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