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가격 계속 오른다..전세지수 5년래 최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셋값이 상승할 것이라고 보는 소비심리지수가 최근 5년 래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7월31일 주택임대차 보호법 시행이후 전세 매물이 줄고 가격이 오르면서 소비자들의 심리도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16일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의 '9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의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23.9를 기록했다.
서울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대책의 영향으로 두달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6일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의 ‘9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의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23.9를 기록했다. 전국 전세심리지수는 2015년 10월 127.8을 기록한 이후 최고치다. 이 지수는 전국 152개 시·군·구 6천680가구와 중개업소 2천338곳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산출된 것으로, 0∼200 범위의 값으로 표현된다. 심리지수는 95 미만은 하강국면, 95 이상·115 미만은 보합국면, 115 이상은 상승 국면으로 분류된다.
서울은 131.0을 기록했다. 전 달(132.6)에 비해선 1.6포인트 내려섰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경기는 127.0에서 128.4로 1.4포인트 올랐고, 인천은 116.3에서 121.0으로 4.7포인트 상승했다.
서울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대책의 영향으로 두달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지난달 서울의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8월 137.5에서 129.5로 8.0포인트 하락했다. 서울의 주택매매 심리지수는 5월 121.5에서 6월 150.1, 7월 155.5까지 치솟았으나 이후엔 하락세를 보이면서 5월 수준으로 근접하고 있다.
경기의 주택매매 심리지수는 8월 125.7에서 9월 122.3으로 3.4포인트 내려갔다. 인천은 112.1에서 115.0으로 2.9포인트 올랐으나 수치 자체가 높지 않다. 수도권 전체적으론 9월 주택매매 심리지수가 123.7을 기록해 전 달(127.8)에 비해 4.1포인트 하락했다. /김흥록기자 rok@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조용히 삶 마감' 극단적 선택 암시했던 박진성 시인, 서울서 생존 확인(종합)
- '아반떼 가격으로 수입차를?'…폭스바겐, 7세대 신형 제타 출시
- ‘홍남기 부총리는 청백리이네요'…끝없는 시장의 조롱
- 음주 교통사고 낸 30대…경찰서 화장실 찾았다 덜미
- 2억뷰 'K흥 열풍' 이날치는 그렇게 시작됐다
- 대머리는 안 돼?···해군사관학교 불합격 기준 논란
- '3만원 긁을때마다 별 1개' '스타벅스 현대카드' 베일 벗었다
- '하나 된 보수' 외치는 홍준표 '김문수, 영혼이 맑은 남자…보수우파의 큰 자산'
- 韓애국심 자극해 돈 번 ‘영국남자’…세금은 영국에
- 생후 4개월 아기, 자기 돈 10억으로 압구정 아파트 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