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금 대출 다 갚았는데, 실거주하라고?"

이선희 2020. 10. 13. 17: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청약 당첨자들 혼란 가중
"입주전에 원금 완납하고
전세 놓으려고 했더니.."
전셋집 보려고 줄서고 제비뽑고 서울과 수도권에서 전세 매물이 자취를 감춘 가운데 13일 인터넷 카페에서는 "강서구 가양동 모 아파트 전셋집을 보기 위해 9개 팀이 줄을 서고 이 중 5개 팀이 가위바위보와 제비뽑기를 해서 최종 계약자를 정했다"는 글과 사람들이 줄 서 있는 사진이 올라와 화제가 됐다. [사진=인터넷 커뮤니티 캡처]
"대출을 다 갚았는데도 왜 실거주를 해야 하나요?"

다음달 예정된 과천지식정보타운 청약을 준비하던 주부 김 모씨(43)는 최근 새롭게 도입된 '주택담보대출 후 6개월 내 전입' 규정을 확인하고 청약을 포기해야 할 상황에 처했다. 남편 직장이 지방 순환근무여서 2~3년 뒤 입주 때 전세를 놓을까 고려 중인데, 지난 6·17 부동산대책 이후 아파트 중도금 대출을 받았다면 대출금을 전액 상환해도 '6개월 내 전입' 의무를 지키도록 규정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13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주택담보대출·중도금대출을 실행했다면 만기 전 원금을 다 갚더라도 무조건 '6개월 내 전입'을 해야 한다.

정부는 6·17 대책에서 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 등 전 규제지역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았다면 주택가격과 상관없이 6개월 내 전입 의무가 부과된다고 발표했다. 이때 중도금이나 이주비 대출도 신규 주택 소유권 이전 등기일부터 6개월 내 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논란이 되는 부분은 대출을 받았다가 원금을 다 상환해도 '전입 의무'가 남는다는 점이다. 대출 실행으로 발생하는 6개월 내 전입 의무는 원금을 다 갚으면 은행과 '대출 계약' 관계가 끝나 사라진다고 해석했던 사람에게는 변수가 생긴 셈이다. 금융위에 따르면 대출 실행 후 원금을 갚을 때 '대출 실행에 따른 조건'을 이행했는지 확인하는데 '6개월 내 전입' 조건으로 대출을 받았기 때문에 조기 상환해도 이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만약 이를 지키지 못하면 일명 '조기 상환 제한'에 걸려 3년간 전 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없다. 이에 중도금대출을 받고 청약 자금을 마련하려던 실수요자들은 '패닉'에 빠졌다.

임대차법 개정으로 매물이 급감한 임대차 시장을 악화시킬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대출 후 6개월 내 전입' 규정은 규제지역인 수도권 전역에 적용되기 때문에 앞으로 전월세 시장에서 수도권 신축 아파트는 전세 물량이 확 줄어든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선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