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된 재건축도 전세 신고가..은마 84㎡ 8억 '미친 전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세 시장이 곧 안정화될 것이라는 정부의 진단과 달리 서울 전세시장은 여전히 상승세다.
29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 따르면 강남권의 대표적인 재건축 단지인 대치동 '은마' 전용 84.43㎡가 지난 18일 전세가 8억원에 실거래됐다.
이 외에 강남 노후 재건축 단지에서 전세 신고가 사례는 계속 나오고 있다.
재건축 기준 연한을 훌쩍 넘긴 강남권 구축 아파트의 전세가까지 최근 급격히 오른 데에는 정부 정책의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9월 강남구 ㎡당 전세가 1,000만원 돌파
29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 따르면 강남권의 대표적인 재건축 단지인 대치동 ‘은마’ 전용 84.43㎡가 지난 18일 전세가 8억원에 실거래됐다. 은마 아파트의 해당 평형 전세가가 8억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인근 중개업소에 따르면 노후 단지지만 전세 매물이 거의 없다는 설명이다.
이 외에 강남 노후 재건축 단지에서 전세 신고가 사례는 계속 나오고 있다. 압구정동의 ‘영동한양1차’도 지난 19일 전용 63.87㎡가 7억5,000만원에 전세 거래가 이뤄졌다. 지난달까지만 해도 5~6억원대에 계약되던 평형이지만, 9월 들어 전세 신고가를 경신한 것이다. 송파구 잠실동의 ‘잠실주공5단지’도 주로 4~5억원 대에 전세 거래가 이뤄지던 전용 82.51㎡이 이달 1일 6억5,000만원에 전세 손바뀜이 이뤄졌다.
재건축 기준 연한을 훌쩍 넘긴 강남권 구축 아파트의 전세가까지 최근 급격히 오른 데에는 정부 정책의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6·17 부동산 대책에 투기과열지구 내 재건축 단지는 2년 실거주를 해야 입주권을 얻을 수 있다는 내용이 포함되면서 세를 놨던 집에 들어와 거주하려는 집주인들이 크게 늘었고, 이에 따라 전세 매물이 귀해졌다는 것이다. 이에 더해 지난 7월 말 전월세상한제와 계약갱신청구권을 골자로 하는 새 임대차법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시장에 나와 있는 전세 매물이 자취를 감췄다.
임차인의 주거 안정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새 임대차법이 시행된 지 두 달이 지난 가운데 서울 전역의 전세가가 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주거 선호도가 높은 강남3구 지역의 전세가 상승이 두드러진다. 최근 KB가 발표한 ‘9월 KB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아파트의 ㎡당 평균 전세가는 1,026만 4,000원을 기록했다. 전달 가격(998만 8,000원)보다 2.8% 오르며 ㎡당 1,000만원대를 넘어선 것이다. 서초구도 917만 6,000원으로 전달(903만 6,000원)보다 1.66% 늘었고, 송파구는 684만원에서 708만 9,000원으로 오르며 ㎡당 700만원대를 돌파했다./양지윤기자 yang@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새신랑 된 전진, 미모의 승무원 신부 '웨딩화보' 공개
- 中 유치원 교사가 아이들 먹을 음식에 독극물 풀어 25명 중독…사형 선고
- 병원 돈으로 ‘슈퍼카’ 타는 의사, 3년새 68% 늘어
- 유족은 아니라는데… '실종 공무원 월북' 해경 근거 네가지는
- '지배력 떨어질라' 정용진·정유경, 3,000억원 증여세 현금납부?
- 코로나 감염 가능성, 아이들이 성인보다 훨씬 낮아
- 추석 귀성길 고속도로 휴게소 '포장'만 OK…통행료는 '유료'
- 檢, 추미애 '무혐의' 처분에 진중권 '국민 앞에서 거짓말 해도 해임되지 않아'
- '김정은은 계몽군주' 반색한 유시민, 2년 전 대기업 2·3세와 비교하며 '혁신가'
- '제2 반도체로 육성'…삼성, 신약 출사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