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포세' 이어 '주포원'.. 미로같은 규제에 은행 패닉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40대 직장인 강모 씨는 2019년 12·16부동산대책이 나오기 전 전세를 끼고 15억 원을 초과하는 아파트를 매입했다.
분명히 12·16대책 이후 매입한 15억 원 초과 아파트에만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 막히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은행원의 답변은 달랐다.
12·16대책에서 15억 원 초과 아파트에 대한 주담대가 막히고, 6·17대책에서는 '갭 투자'를 잡기 위해 전세자금 대출에 대한 회수 규정이 더 강화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8년 9·13대책부터 2019년 12·16대책, 올해 6·17, 7·10대책 등 굵직한 부동산 대책이 이어지면서 대출 규제도 추가, 또 추가되며 한없이 난해해졌다. 그렇다 보니 대출 최전선인 은행 지점에서마저 대출 가능 여부 등을 놓고 수요자와 갈등을 겪는 사례가 왕왕 발생하고 있다. 양포세(양도소득세 상담 포기한 세무사)에 이어 주포원(주택담보대출 상담 포기한 은행원)이 등장하고 있다는 말까지 나온다.
○ 은행원들도 미로 같은 대출 규제에 ‘헷갈려’
현장의 은행원들도 할 말이 많다. 12·16대책에서 15억 원 초과 아파트에 대한 주담대가 막히고, 6·17대책에서는 ‘갭 투자’를 잡기 위해 전세자금 대출에 대한 회수 규정이 더 강화됐다. 여기에 각종 경과 규정, 예외 규정이 더해지면서 대출 ‘난이도’는 더 상승했다. A시중은행 관계자는 “대책이 나올 때마다 전산 시스템을 변경하고 수십, 수백 페이지의 가이드라인을 숙지하느라 정신없는 상황”이라며 “솔직히 대출 담당자도 세세한 규정을 완벽하게 따라가기 쉽지 않다”고 호소했다.
온라인에서는 연일 대출 규정과 관련한 문의가 끊이질 않는다. 최근에는 금리가 하락하면서 ‘대출 갈아타기’와 관련한 문의가 단골 메뉴다. “주담대를 이미 이용 중이었는데 그 사이에 살고 있는 지역이 규제지역으로 묶여버렸다면 대출을 갈아탈 때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은 어떻게 적용되느냐”는 것이다. 은행들의 설명을 종합하면 대출을 갈아타면 LTV는 새 기준이 적용돼 대출한도가 줄어들 수 있다.
‘6개월 전입 의무’와 관련해서도 “규제지역에서 주담대를 받으면 6개월 내 무조건 새집에 전입하라고 하는데 예외 규정은 없는지, 전입해서 과연 얼마나 거주해야 하느냐”는 질문이 적지 않다. 은행들은 “갑작스러운 해외 발령 등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고서는 예외는 없다”면서도 전입 후 거주 기간에 대해서는 “딱히 명확한 규정이 없는 것 같다”라는 반응이다. 해결되지 않는 의문점이 여전한 것이다.
○ 은행 상대 민원도 25% 이상 증가
사정이 이렇다 보니 1분기(1∼3월) 은행에 대한 금융 민원은 전년 동기에 비해 25% 이상 늘었다. 대출 수요가 늘어난 탓도 있지만 빡빡해진 대출 규제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임대차 3법도 은행과 대출 수요자 간 갈등을 키우는 데 한몫했다. 세입자에게 계약갱신요구권이 생기자, 일부 집주인들이 은행의 전세대출 관련 연락을 피하는 식으로 애를 먹인 것. 정부가 “집주인의 동의가 필요 없다”는 방침을 강조했지만 대출 리스크를 따지지 않을 수 없는 은행은 진땀을 흘릴 수밖에 없다. 그나마 최근 보증기관들이 ‘전세대출 연장 관련 연락을 집주인이 회피하더라도 대출이 가능하다’고 못을 박으며 은행들은 한시름 덜었다.
갈등은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B시중은행 관계자는 “14일부터 ‘기존 주택 처분 및 전입요건’이 실제로 지켜지고 있는지 본격적으로 확인해야 한다”며 “대출을 둘러싼 갈등이 커질까 무섭다”고 했다.
장윤정 기자 yunjng@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결정적 제보 있다” vs “이번 주 지나면 의혹 일단락”…정치권 연일 공방
- 주호영 “‘秋아들 청탁 의혹’ 결정적 제보있다”…文대통령 결단 촉구
- 靑, ‘추미애 아들’ 관련 청원 또 비공개 처리…“청원 요건 위배”
- 신원식 “‘秋 아들 의혹’ 폭로자가 내 측근? 친분도 연락처도 몰라”
- [단독]檢, 추미애 아들 관련 대위 2명-당직사병 재조사
- [단독]추미애 아들 ‘청탁 의혹’ 폭로한 대령, 기자 회견 검토 중
- 국방부 “‘秋 부부 민원’, 내부 문건 맞다…외부 유출 유감”
- 통신비-청년 취업지원비 등 선심성 대책 대거 편성…‘맞춤형’ 당초 취지 무색
- 추경 편성 필요성엔 동의…野 “통신비 지원은 ‘이낙연 포퓰리즘’”
- 확진자 수 정치적 조절 논란에…김종인, 국회 전수조사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