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진단] 알짜배기 매물 부르는게 값..정부-시장 시각차, 왜?

윤선영 기자 2020. 8. 13. 16:19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경제현장 오늘 '집중진단' - 두성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선임 연구원, 한문도 연세대정경대학원 금융부동산학과 겸임교수

정부의 주장대로 부동산 시장이 안정화 국면으로 접어든 걸까요? 서울 주택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상승 폭이 축소됐습니다. 문제는 시장 안팎의 체감이 다르다는 점인데요. 휴가철이라 거래가 줄었을 뿐, 알짜배기 매물은 여전히 부르는 게 값이란 겁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언급한 부동산 감독기구, 과연 집값 안정을 위한 최선책일까요? 전문가와 사안 토론합니다. 

Q. 이번 주 서울 집값 동향, 총평이 궁금합니다. 서울 집값은 상승 폭이 둔화했지만, 강남 집값은 평균가가 10억을 처음으로 넘기도 했어요?

Q. 중저가 집, 재개발 검토지 집값 특징은 뭡니까? 

Q. 인천, 세종 등 지방 주요지 상황도 짚어볼까요. 세종 집값은 천장을 뚫었다고요. 올 들어 31.6%나 상승했습니다? 

Q. 서울 집값, 지금이 정점인가요?

Q. 뚜렷한 공급책이 없으면 중저가 단지 상승세, 강세 유효할까요? 

Q. 세 부담 강화 효과, 점차 확인 가능하겠습니까? 6개월 이후 집값 안정 효과가 나올 거란 관측도 있어요? 

Q. 이호승 청와대 경제수석이 부동산 하향안정을 호언장담했습니다. 조만간 이를 확인할 수 있을 거라고 언급했어요?

Q. 정부가 국민의 자산가치 하락을 주도한다는 데에 의견 어떻습니까? 

Q. 한국 부동산의 유일한 특수성을 고려한 정책도 필요하지 않을까요? 

Q. 문제는 하락이 어려운 집값의 평균이 상승했다는 건데요. 서울 아파트 평균가격이 7년만 2배로 껑충 뛰며 10억을 돌파했는데요. 잇단 규제에도 하락하지 않은 강남, 이유가 뭡니까? 

Q. 역세권-학세권 수요 뒷받침 때문인가요? 

Q. 재건축 이슈가 집값 상승을 주도하기도 하고요? 

Q. 중저가 1주택자 세금 하향, 의미 있겠습니까? 

Q. '중저가집' 기준 상향이 필요하다는 의견은 어떻게 보시나요?

Q. 실수요자 최대 관심, 역시 전세시장 아닐까요. 서울 전셋값 상승 요인, 강남 3구가 크지 않습니까? 평균가 얼마나 상승한 겁니까? 

Q. 문재인 정부 들어서 전셋값, 38개월 만에 7천3백만원이 상승했다고요? 

Q. 임대차법 시행 2주간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이 16% 감소했다고요? 

Q. 분양가 추월한 전세 매물 등장까지 등장했다고요. 전세 실수요자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지 않습니까? 

Q. 알짜매물이 사라지면서 매도자 우위로 시장이 재편됐다는 해석이 있습니다?

Q. 하루 만에 청약 당첨 당락이 바뀌며 부산에서 청약 재추첨 사태가 발생한 건 뭔가요?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www.SBSCNBC.co.kr )

☞ SBSCNBC 공식 [페이스북][트위터][모바일 앱] 바로가기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