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차법 시행 후 서울 전세 매물 16% ↓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계약갱신청구권제와 전·월세상한제를 담은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안 시행 후 2주 만에 서울 아파트의 전세 물량이 약 1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아파트실거래가)에 따르면, 전날 기준으로 서울의 전세 매물은 3만 2505건을 기록, 지난달 29일(3만 8557건)보다 15.7% 감소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3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아파트실거래가)에 따르면, 전날 기준으로 서울의 전세 매물은 3만 2505건을 기록, 지난달 29일(3만 8557건)보다 15.7% 감소했다.
임차인에게 4년 거주를 보장하고, 임대료 인상을 5% 이내로 묶는 내용을 담은 새 임대차법이 지난달 31일 전격 시행에 들어간 영향으로 풀이된다. 전세 물건 감소는 서울 25개 구 전역에서 나타났다
특히 상대적으로 서민이 많이 거주하는 은평구(-37.0%), 중랑구(-36.4%), 구로구(-28.6%)의 감소폭이 컸다. 은평구 응암동에 있는 '녹번역e편한세상캐슬'은 전세 매물이 지난달 29일 329건에서 116건으로 64.8% 줄었다.
전세 물건 감소로 전셋값이 급등하면서 분양가를 넘어서는 아파트도 등장했다. 서울 은평구 응암동 '녹번역e편한세상캐슬' 전용면적 44㎡는 지난달 21일 3억 9천만 원에 전세 계약됐으나 지난 12일에는 5억 원에 계약됐다. 이는 2017년 분양가 3억 3080만~3억 6970만 원을 훌쩍 뛰어넘은 것이다.
7월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도 전달보다 774만 원 오른 4억 9922만 원을 기록, 5억 원 돌파(월간 KB주택가격동향)를 눈앞에 두고 있다. 새 임대차법 도입과 맞물려 서울 주요 단지의 전세 매물이 급감하고, 전셋값이 가파르게 상승할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화하는 분위기다.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BS노컷뉴스 양승진 기자] broady01@naver.com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노영민 유임 속 靑 '3기 진용'..쇄신 드라이브 걸었지만
- 여야 모처럼 한목소리 낸 '4차 추경' 무산..왜?
- '박원순 성추행 방조 의혹' 前비서실장 "묵인·방조 없었다"
- 환경부 "4대강 보 홍수 조절 능력 없어"..정치권 논란은 계속
- 의식잃은 여성 살린 군인의 '한수'..하임리히법 요령은?
- [단독]'시간대별 재난대응 임무 카드' 뒤로하고 관사 간 변성완 권한대행
- 검찰개혁 직제개편이라지만.."총장 견제용" 반발도
- 부산기계공고서 추가 2명 감염 등 부산서 4명 확진 판정
- 정부 "환자 희생 담보한 의사 총파업 유감..대화하자"
- 서울시, 광복절 집회 금지명령.."7곳 강행 입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