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4억 이하 전세 비중 절반에 불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아파트 중 4억원 이하 중저가 전세거래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부동산 정보업체 직방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 중 2억~4억원 비중은 39.0%, 2억원 이하 비중은 13.7%로 4억원 이하 전세 거래 비중이 52.7%에 불과했다.
반면 상대적으로 전셋값이 저렴한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과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에서는 4억 이하 전세거래 비중이 늘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0일 부동산 정보업체 직방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 중 2억~4억원 비중은 39.0%, 2억원 이하 비중은 13.7%로 4억원 이하 전세 거래 비중이 52.7%에 불과했다.
지난 2011년 4억원 이하 전세 거래가 전체의 89.7%에 달했던 것과 비교해 큰 폭으로 떨어진 것이다.
서울 아파트의 모든 전세가격대별에서 노후화가 심화되고 있다. 9억원 초과 전세의 경우 2011년 평균 준공연한이 5.2년이었나 올해 상반기에는 15.1년으로 10년 가까이 늘었다.
중저가 전세가 줄어들고 전셋값은 오른 반면 아파트는 노후화해 전반적인 전세 거주여건도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 준공연한은 9억원 초과 전세의 경우 2011년 당시 평균 5.2년이었으나 올해 상반기에는 15.1년으로 늘었다.
다만 2011년부터 2016년까지는 중저가 전세 감소폭이 컸다가 2017년부터는 완만해졌다.
지역별로는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3구에서 중저가 전세가 빠르게 줄었다. 반면 상대적으로 전셋값이 저렴한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과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에서는 4억 이하 전세거래 비중이 늘었다.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노·도·강 전체 전세 거래의 88.0%가, 금·관·구 전체 거래의 76.0%가 4억원 이하였다.
직방 관계자는 "8·4 대책으로 공급이 추가되고 임대차 2법을 시행하면서 임차인 주거 안정을 위한 장치는 마련됐지만 임차인들이 실제 거주할 수 있도록 임대물량 유통을 원활화하는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BS노컷뉴스 양승진 기자] broady01@naver.com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장은철 "모았다가 한꺼번에.. '물폭탄' 꾸준히 늘었다"
- 서울 남대문시장 관련 9명 확진..관악구 병원서도 3명(종합)
- 검찰 중간간부 교체·조직개편 예고..중요사건 처리 '주목'
- 태풍 '장미', 오후 3시 경남 통영 상륙.."많은 비 예상"
- [혐오리포트]혐오라는 폭탄 돌리기
- 파국 위기서 되살아난 아시아나 인수 불씨, 극적 반전 이룰까
- 열흘간 물폭탄 사상·실종자 50명..9년만의 최악 인명피해
- 서울 주요도로 통제 풀려..서울시 대중교통 증편 운행
- '코스피 더 오르나' 반년만에 돌아온 외국인
- 사실상 '마지막 비서실장' 찾기 난항..文대통령은 고심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