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수도권 아파트 매매·전셋값 상승폭 '둔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아파트값이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상승폭은 전주 대비 축소됐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7·10대책 발표 후 다주택자의 세부담이 대폭 강화된 가운데 정부가 수도권 대규모 주택 공급대책까지 발표했지만 실수요의 중저가 아파트 매수가 이어지면서 집값 상승세가 유지된 가운데 매매가격 상승폭이 소폭 둔화돼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7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전주 대비 0.02%포인트 둔화된 0.09%를 기록했다. 재건축과 일반 아파트가 각각 0.02%, 0.10% 올랐다. 경기·인천이 0.05%, 신도시는 0.02% 상승했다.
서울은 △도봉(0.17%) △송파(0.16%) △관악(0.15%) △서대문(0.15%) △성북(0.15%) △강동(0.14%) △서초(0.14%) △중랑(0.13%) 등이 올랐다. 도봉은 역세권과 6억원 이하 중저가 아파트에 수요가 꾸준히 유입되고 있다.
신도시는 △일산(0.08%) △동탄(0.06%) △평촌(0.04%) △중동(0.02%) △분당(0.01%) △판교(0.01%) 등이 올랐고 나머지는 보합(0.00%)을 나타냈다.
한편 서울과 수도권 전세시장도 휴가철 비수기와 장마 여파로 수요가 줄면서 오름폭이 축소됐다. 서울이 0.07% 상승했다. 경기·인천은 0.03%, 신도시는 0.02% 올랐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7·10대책 발표 후 다주택자의 세부담이 대폭 강화된 가운데 정부가 수도권 대규모 주택 공급대책까지 발표했지만 실수요의 중저가 아파트 매수가 이어지면서 집값 상승세가 유지된 가운데 매매가격 상승폭이 소폭 둔화돼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세시장에 대해선 "전세매물 부족에 따른 수급불균형 상태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가격 상승에 대한 불안감은 여전하며 전세 품귀 우려는 수도권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며 "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상한제 등을 포함한 주택임대차보호법이 본격 시행된 데다 저금리, 세부담 강화 등으로 월세 전환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BS노컷뉴스 양승진 기자] broady01@naver.com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임대사업자, 의무임대기간 못 채워도 양도세 중과 배제
- 경찰, '박원순 성추행 靑보고' 준용했다는 규칙 사실상 방치
- [단독]"정위치 근무하라" 행안부 공문에도 시청 비운 변성완 대행
- "1200만원 잃고 중고사기까지..도박에 빠진 아이들"
- [인터뷰] 존리 "아직도 자녀 사교육에 투자하시나요?"
- 춘천 의암댐 선박 전복사고 실종자 수색작업 이틀째 진행
- "임대차법마저 반대라니"..당혹스런 여당, 뒤늦은 자성론
- 부산 특정지역 아파트값 폭등..조정대상지역 지정설 '솔솔'
- "부산 발전에 여·야 없다"..박재호·하태경 첫 회동
- 의암댐 사고 실종자 수색 재개, 잠실대교까지 수색 범위 넓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