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차법' 찬반 43.5% VS 49.5%..10명 중 7명 "다주택 고위 공직자 부동산 업무 배제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계약갱신청구권제 및 전·월세 상한제를 도입한 개정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대해 반대 여론이 찬성보다 더 높다는 리얼미터 조사 결과가 6일 나왔다.
리얼미터가 오마이뉴스 의뢰로 지난 4∼5일 성인 1천명을 대상으로 개정 임대차보호법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반대 49.5%, 찬성 43.5%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리얼미터가 오마이뉴스 의뢰로 지난 4∼5일 성인 1천명을 대상으로 개정 임대차보호법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반대 49.5%, 찬성 43.5%로 나타났다.
수도권에서는 반대 50.0%, 찬성 40.3%로 격차가 10%포인트 가까이 됐고 비수도권에서도 반대 49.0%로 찬성(46.7%)보다 더 높았다.
수도권의 자가 소유자의 경우 반대 55.9%, 찬성 36.5%로 반대가 훨씬 높았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리얼미터가 지난 5일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다주택 고위공직자를 부동산 업무에서 배제해야 하는지를 물은 여론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4%포인트)에선 배제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73.7%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맡아도 상관 없다'는 16.1%, '잘 모름'은 10.2%였다.
한편 한국감정원의 '2020년 8월 1주 주간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임대차 3법 국회 통과와 수도권 주요 지역 거주요건 강화 등에 따른 전세매물 부족 현상으로 전국에서 아파트 전셋값이 큰 폭의 오름세를 기록했다. 서울은 58주째 상승 중이다.
매매시장은 보유세 강화 등 정부의 수요 억제 정책과 공급대책 발표 예고로 상승세가 주춤했다. 다만 세종시나 대전시 등 일부 지역은 수요가 몰리며 상승세를 나타냈다.
감정원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매물이 부족한 상황에서 시중에 나온 전셋집은 갱신청구권, 상한제 등의 적용을 받지 않아 학군 지역, 역세권, 상대적 저평가 단지 등을 중심으로 호가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통한 소식통에 들었다”던 박지원…이재명 파기환송에 “예상외 판결”
- "(뉴진스) 계약은 장난이 아니다" 레전드 프로듀서의 일침
- ‘야구선수 출신’ 아빠 야구방망이에 온몸 멍든 채 숨진 11살
- “이것들 봐라? 한 달만 기다려라” 민주당 ‘보복’ 예고?…하루도 안 넘기고 심우정 총장 탄핵
- '도난 피해' 박나래, 결국 눈물 쏟았다…김지연 "한결같이 잘해준 유일한 분"
- 백종원 “이제 다 바꾸겠습니다”…50억 쏟아부은 이유
- 일부러 챙겨 먹었는데…1급 발암물질 검출된 건강식품 대명사
- “왜 죽었지” 오열하던 남편…신혼 아내 살해한 범인이었다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