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차 쇼크에 의무입주까지.. 새 아파트 전세 '멸종'되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체로 새 아파트가 입주할 때 집주인들이 전세금으로 잔금을 치르려 하기에 전세 매물이 쏟아지는 경향이 짙다.
이에 송파구 '헬리오시티' 등 대규모 단지 입주 시에는 싼 값에 전세 매물이 나오기 마련이다.
한 전문가는 "이렇게 되면 신축 아파트 전세는 사라지게 된다"고 말했다.
이 경우 2023년 하반기께부터 준공되는 아파트에선 입주와 동시에 전세를 놓을 수 없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집주인의 거주를 의무화하는 법안이 국회 통과를 앞두고 있어서다. 서울 재개발·재건축 등 분양가 상한제 대상 단지와 공공택지 민간아파트가 대상이다. 설상가상으로 임대차 3법까지 맞물리면서 전세난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4일 국회에 따르면 ‘주택법’ 개정안이 이날 본회의에 상정된다. 이원욱·윤관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6월 발의한 뒤 상임위인 국토교통위원회에서 대안을 반영한 안건이다. 전날 법제사법위원회를 통과했다.
개정안은 수도권 분양가 상한제 대상 아파트에 거주의무를 부과하는 게 골자다. 그동안은 정부가 조성하는 공공택지의 공공분양 아파트에 대해서만 1~5년의 거주의무가 주어졌다. 앞으론 공공택지의 민간분양 아파트는 물론 재개발·재건축 같은 민간택지 아파트에도 거주의무가 생긴다. 최대 5년의 범위다. 국토교통부는 시행령을 개정해 주택가격의 시세 대비 수준에 따라 2~3년의 기간을 두는 걸 고려하고 있다.
정부에 따르면 최초 입주가능일부터 거주해 5년 이내의 기간을 채워야 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아파트 준공 직후부터 집주인이 직접 들어가 살아야 한다는 의미다. 거주의무를 위반할 경우 1년 이하의 징역이나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한 전문가는 “이렇게 되면 신축 아파트 전세는 사라지게 된다”고 말했다. 개정안은 법 공포 후 6개월 뒤부터 시행된다. 상한제를 적용받는 서울 등 투기과열지구 일부 지역에서 내년 1월부터 입주자모집공고를 신청하는 단지부터 적용될 전망이다. 이 경우 2023년 하반기께부터 준공되는 아파트에선 입주와 동시에 전세를 놓을 수 없다. 3기 신도시 등 공공택지에서 분양하는 아파트도 마찬가지다. 여기에 임대차 3법 등 각종 규제로 전세물량은 줄어들고 있다. 결과적으로 전셋집이 더 줄면서 전세가는 계속 오를 가능성이 큰 셈이다. /권혁준기자 awlkwon@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집권세혁이 헌법 파괴" 주호영 비판에 정청래 "강남 아파트로 떼돈..자격 있나"
- 어제 술마셔도 '미스맥심' 중간투표 2위, 박근나 얼마나 섹시하길래?
- '임대료 5% 상한'에 함정 있다..세입자 거부땐 한푼도 못 올려
- 이주빈, 어쩜 이렇게 예뻐? 면접 프리패스 미모 여전해
- 냉면 먹다 이 다 상한다? 치아에 안 좋은 '섭취법' 세 가지
- 물감통·커피·곰돌이 인형 뜯어보니 마약이..국제우편 위장 반입 잇따라 적발
- "조국은 공산주의자" 국대떡볶이 대표 주장에 김근식 "조국도 쫌스럽지만.."
- "월세가 정상" 발언에 비판 쏟아진 윤준병 "충고 감사, 월세 생활 몸소 실천"
- '윤희숙 효과' 극찬 김근식 "文정권 스스로 묘혈 팔 것..진정성 있는 호소면 충분"
- 900만원짜리 구찌백을 9900원에?.. LF 해외명품 파격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