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임대차법 시행 첫날..기대·우려·혼란
[뉴스리뷰]
[앵커]
세입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 새 임대차보호법이 오늘(31일)부터 시행됐습니다.
시행 첫날 전·월세 시장 모습을 나경렬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2년마다 새로운 전셋집을 알아봐야 했던 세입자들.
계약갱신 청구권제가 시행되면서 이제는 한 집에서 더 오랫동안 살 수 있게 됐습니다.
<서울 강남구 아파트 세입자> "복비도 그렇고 이사비용도 그렇고 2년마다 이사간다고 하는 게 보통 비용이 많이 드는 게 아니에요."
하지만 계약 기간이 모두 끝나고 새로운 계약을 맺어야 할 때 전셋값이 크게 오르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집주인이 새로운 세입자와 계약을 하는 경우엔 전셋값을 5% 넘게 올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높은 전셋값을 받기 위해 집주인이 아예 전셋집으로 들어가 산 다음에 세를 놓으려고 고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허병구 / 서울 용산구 공인중개사> "집주인들은 본인이 직접 입주하든지 그렇지 않으면 월세나 반전세로 전환하려고…"
법이 속전속결로 처리된 탓인지, 임대차보호법 시행 첫날 부동산 시장에선 혼란도 빚어졌습니다.
<서울 양천구 공인중개사> "만기는 9월이고 계약서를 썼는데 (증액분을) 돌려줘야 한다고요? 어떻게 되는 거야."
재계약을 통해 기존 전셋집에 눌러앉는 세입자들이 많아지면서 전세 물량이 지금보다 더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서울 시내 한 아파트의 경우, 전체 1,300여가구 가운데 전세로 나온 물량은 단 한 개도 없는 상황입니다.
<서울 마포구 공인중개사> "4년 살 수 있잖아요. 매물이 안 나오지. 회전이 안되지. 임대매물이 없으니까 자꾸 가격이 올라갈 수밖에 없는 거예요."
새 임대차보호법이 제대로 효과를 내기 위해선 꾸준한 공급 확대가 필요하단 지적이 나옵니다.
정부가 다음주 내놓을 공급 대책에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입니다.
연합뉴스TV 나경렬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 연합뉴스TV 네이버 채널 구독 ▶ 생방송 시청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레임덕 자진 탈당·강제 출당…역대 대통령 탈당사
- "어쩐지 꿉꿉 하더라" 일본 초고속 장마 북상…우리나라 영향은?
- 키 2m 알바니아 총리…157cm 멜로니 총리 환영법은?
- 이스라엘, 가자지구서 새 작전 돌입…"요충지 장악"
- 대구서 이재명 후보 벽보·현수막 등 잇단 훼손
- 간 질환 아들 피 토하는데…방치하고 사망 보험 든 엄마
- "라면 한 그릇 하세요"…고립 막는 충주 '나누면' 눈길
- 87세 할망들의 그림꽃…제주 선흘서 '폭싹 속았수다'
- 대전 연고 프로야구·축구 '펄펄'…대전시 '함박웃음'
- 교황청 "레오 14세, 우크라-러 후속 협상지로 바티칸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