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 여당' 등에 업은 文정부, 전월세 시장 전면 개편 속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거대 여당으로 구성된 21대 국회 개원과 동시에 전월세 시장 전면 개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8일 국회와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최근 더불어민주당 윤후덕 의원이 계약갱신청구권제와 전월세상한제를 도입하는 내용의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민주당이 총선을 앞두고 공개한 공약집에도 2+2 계약갱신청구권과 직전 임대료의 5% 이상 올리지 못하는 전월세상한제를 도입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디지털타임스 박상길 기자] 정부가 거대 여당으로 구성된 21대 국회 개원과 동시에 전월세 시장 전면 개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8일 국회와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최근 더불어민주당 윤후덕 의원이 계약갱신청구권제와 전월세상한제를 도입하는 내용의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임차인에게 1회에 한해 계약갱신청구권(2년+2년)을 행사할 수 있게 하고 임대료의 증액 상한을 5%로 묶는 것이 핵심이다. 작년 법무부와 국토부, 더불어민주당간 당정 협의를 통해 공감대가 형성된 내용이다.
민주당이 총선을 앞두고 공개한 공약집에도 2+2 계약갱신청구권과 직전 임대료의 5% 이상 올리지 못하는 전월세상한제를 도입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윤후덕 의원 외에도 박주민 의원 등 여러 민주당 의원들이 개별적으로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을 준비 중이다.
박주민 의원은 계약갱신청구권을 임차인이 원하는 대로 무기한으로 행사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의 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민주당은 을지로위원회를 통해 법안 내용을 논의할 예정이지만, 당 차원의 통일된 법안을 내기보다는 의원들이 개별적으로 다양한 법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민주당의 총선공약에는 기존 임대차 계약이 끝나고 나서 다른 임차인과 계약을 체결할 때도 원래 계약 금액의 5% 이상 증액하지 못하게 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기존에 논의됐던 전월세상한제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것으로 아직 주무부처인 법무부나 국토부와 본격적인 논의는 되지 못했다. 현재 당정이 합의한 전월세상한제는 계약 갱신시 적용된다.
전월세신고제를 도입하기 위한 주택법 개정안은 20대 국회 회기 때 같은당 안호영 의원이 발의했으며 이번 국회에서도 안 의원이 대표발의할 예정이다.
전월세신고제는 전월세 거래도 주택 매매처럼 30일 내 실거래가를 신고하게 하는 제도다.
실거래 신고된 전월세 주택은 임차인의 확정일자가 자동 처리돼 보증금을 보호받을 수 있고 정부는 전월세 시장의 통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임대인은 전월세 내용이 공개되면서 임대소득 세원이 투명하게 공개된다.
전월세신고제는 계약갱신청구권제도와 전월세상한제를 운영하기 위한 기반이기도 하다.
국토부는 법안이 아직 처리되지도 않은 상황임에도 최근 전월세신고제 실행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용역을 발주하며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같은당 윤관석 의원은 지난 12·16 대책 내용을 담은 주택법 개정안을 최근 재발의했다. 불법 전매 행위에 대해 10년간 청약을 금지하고 가로주택정비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임대주택 공급 등 공공성을 갖춘 사업에서 나오는 주택은 분양가 상한제 대상에서 제외하는 내용이다.
민주당과 정부의 임대차 3법 추진이 워낙 파급력이 큰 만큼 시장에 부작용을 가져올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월세신고제, 계약갱신청구권은 중장기적으로 전월세 가격을 안정화시킬 수 있겠지만 시행 직전에는 전월세 가격을 상승시킬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다. 임대수익률이 낮아지면 건설사와 임대주택사업자가 임대아파트 공급을 줄일 우려가 있고 계약갱신청구권은 전월세 매물잠김 현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박상길기자 sweats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당장 내일 무너질지도 모르는데"..여의도 재건축 또 틀어막은 박원순
- 대통령 '집값 원상회복' 강조했는데..서울 아파트, 바닥 다졌다
- 한지민 드레스 "여신이야? 요정이야?"
- '집 가진 죄인' 울리는 세금 폭탄..올해 보유세 8000억 증가
- '수상한 집값' 탈탈턴다..도마위 오른 송파·강남
- 남아공 대통령, 보어인 공격 영상에 트럼프 앞서 진땀
- 초조해진 이재명, `내란 프레임` 재가동
- 1분기 술집·숙박업 매출 10% 폭락… 빚더미에 50만곳 문 닫아
- `어려워도 시장개척` 롯데케미칼, 인도네시아 부타디엔공장 이달말 시운전 돌입
- 누리호, 한화에어로에 연내 기술이전 마무리…美 화성탐사 협력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