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포자이 1.7억 뛰었다"..'들썩들썩' 아파트값이 수상하다
강남4구·마포·용산 등 거래 활발
수도권·전국 매매도 살아날 기미
정부 '풍선효과 막기' 규제에도
아파트값은 37주 연속 상승세
"반등""일시적 현상" 의견 분분
◇서울은 물론 전국 아파트 거래도 늘어=4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 따르면 이달 3일 기준 5월 전국 아파트 거래량은 4만1,221건이다. 전달 거래량인 4만4,179건과 2,900여건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아직 등록되지 않은 거래 건수까지 고려하면 5월 거래량이 4월 거래량을 훌쩍 뛰어넘을 가능성이 높다. 6월 현재까지 서울 25개 구 가운데 15개 구의 5월 아파트 거래량이 4월 거래량을 추월했다. 특히 서울 집값을 이끄는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와 강북의 대표지역인 마포·용산구의 5월 거래가 활발했다.
경기와 인천 등 수도권 지역의 5월 거래량도 4월의 수치를 추월하기 직전이다. 경기도의 5월 아파트 거래량은 1만1,132건으로 4월(1만2,355건)과의 격차를 1,200여건으로 좁혔고, 인천도 5월(3,166건)과 4월(4,006건)의 격차가 840건에 불과하다. 연이은 정부발(發) 부동산 규제 정책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최근 한두 달 새 부동산 거래가 급격히 위축됐지만 절세용 급매물이 소진되고 금리까지 내리면서 서울을 시작으로 수도권, 더 나아가 전국의 부동산 거래가 다시 살아날 기미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거래량 증가는 아파트값 상승률 통계에도 반영되고 있다. 이날 발표된 한국감정원의 6월 첫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는 전주 대비 0.09% 올랐다. 지난주 상승률보다 0.01%포인트 오른 수치로, 이번주까지 포함하면 37주째 상승이다. 경기와 인천을 비롯한 수도권 아파트값도 꾸준한 오름세다. 이번주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는 0.12% 올랐다. 서울 규제에 따른 수도권 풍선효과를 잡기 위해 정부가 수도권을 겨냥한 안정화 대책을 연이어 내놓았음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아파트값은 연일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단지별로 보면 서초구 반포동 반포자이 전용 84㎡는 최근 27억원에 거래됐다. 지난달 2일과 13일 고층이 각각 25억8,000만원, 25억3,000만원에 팔린 후 1억2,000만∼1억7,000만원 값이 뛰었다. 반포동 반포리체 전용면적 84㎡는 최근 24억원에 거래됐다. 올해 2월 24억2,000만원에 마지막 거래가 이뤄진 지 3개월 만이다. 송파구 잠실동 잠실 주공5단지도 전용 82㎡가 22억8,000만원에 거래됐다. 이는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올랐던 지난해 말 수준에 근접한 것이라고 현지 중개업소는 전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 랩장은 “서울 아파트값은 민간 통계와 한국 감정원 통계 모두 5월 이후 낙폭이 둔화되다 보합을 거쳐 소폭 상승으로 넘어가는 일관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며 “기준금리가 최근 추가 인하된데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가 생활방역으로 전환됐고, 대규모 추경까지 현실화하는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추후 조정을 예상하기는 무리가 있다”며 상승전환을 예측했다. 함 랩장은 “특히 서울은 청약 경쟁률이 올해 평균 100대1을 넘을 정도로 신규 주택 수요가 높다”며 “당분간 강보합세를 보이고 거래량 상승 여부에 따라 가격 상승폭도 달라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임병철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강남권 아파트와 주요 재건축 단지의 절세 급매물이 소화된 후 현재까지 추격매수는 확인되지 않는 분위기”라며 “낮은 금리에 유동성이 워낙 풍부해 수도권에서 그동안 상승이 적었던 지역을 중심으로 조금씩 오르기는 하지만 전반적인 가격 상승을 주도할 수 있는 분위기로 보기는 어렵다”고 했다.
양극화가 더 심화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임미화 전주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소형과 중저가 아파트의 경우 세금 부담이 적어 신규 매입자들이 들어오는 반면 대형 매물과 고가 매물은 시장에서 적체되는 양극화가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하락의 여파가 본격화할지, 어느 정도 수준일지에 따라 아파트 시장의 방향도 달라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양지윤·김흥록기자 yang@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깡' 열풍에 비 '새우깡' 광고 모델 발탁..대중 요청 현실로
- MBC "박사방 가입 기자, 취재목적이라 보기 어려워"
- 동학개미 웃을때 회장님들은 '함박웃음' 지었다
- "이제 4곳 남았네요"..중국산에 밀린 국산 전분업체의 눈물
- '文 경제교사' 금통위원 "주식 안판다"..곤혹스런 한은
- 청와대도 통일부도..대북삐라 '백해무익' '중단해야'
- 떡볶이는 초록색 접시에 담아야 제맛
- 정경심, 컨설팅비로 받았다더니..조국에겐 "불로수입"
- 새벽 4시의 공포..커터칼 들고 집까지 쫓아오는 그놈 [범죄의 재구성]
- 설마 또 밀입국?..태안서 정체불명 고무보트 추가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