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도 주택매매량 '확' 늘었다..이유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확산에도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4개월간 누적 주택 매매거래량이 지난 15년 중 가장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4월 거래량은 2월 20일 이전에 계약한 경우 계약일로부터 60일 이내 신고 건과 2월 21일 이후에 계약한 경우 30일 이내 신고 건을 집계했다"며 "코로나19에 따른 주택 매매거래량 추이는 5월 이후 거래량 집계에서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월부터 4월까지 39만8806건 2006년 이후 최대
아파트 매매량 전년 동기 대비 129.6% 증가
[이데일리 김용운 기자] 코로나19 확산에도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4개월간 누적 주택 매매거래량이 지난 15년 중 가장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늘어난 보유세(재산세·종합부동산세) 부담도 피하고 양도소득세 비과세 혜택도 받기 위한 세금 회피 매물이 급매형태로 쏟아졌기 때문이다.
19일 국토교통부의 ‘4월 주택 매매거래량 발표’에 따르면 1~4월 전국의 주택 매매거래량은 39만8806건에 달했다. 이는 39만1000여 건을 기록했던 2015년 1월부터 4월까지 주택 매매거래량보다 많은 수치로 2006년 이후 최고치다. 지난해 같은 기간 주택 매매거래량이 20만2000여 건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00%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올해 1월부터 4개월간 전국의 아파트 매매거래는 29만2000여 건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9.6% 증가하며 주택 매매거래량 증가를 주도했다. 아파트 외의 주택의 매매거래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2.4% 증가했다.
1월부터 4월까지 전·월세 거래량은 총 76만773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0.5% 증가했으며 지난 5년 평균 대비 24.0% 늘어났다.
부동산업계에서는 코로나19로 경기 위축이 장기화하는 상황에서도 주택 매매거래량이 늘어난 이유에 대해 정부의 다주택자 규제가 강화되면서 매물들이 많이 나왔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지난해 연말 12·16 대책에 따른 풍선효과로 인천과 경기권 주택 거래가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실제 서울의 경우 지난 5년간 1~4월 평균 주택 매매거래량과 비교했을 때 거래량이 올해 14.8% 증가했으며 인천은 87.2%, 경기는 74.1%가량 거래량이 증가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4월 거래량은 2월 20일 이전에 계약한 경우 계약일로부터 60일 이내 신고 건과 2월 21일 이후에 계약한 경우 30일 이내 신고 건을 집계했다”며 “코로나19에 따른 주택 매매거래량 추이는 5월 이후 거래량 집계에서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용운 (lucky@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LG 스타일러 물 샌다" 삼성전자, 판매점서 작심 저격
- 인천 비전프라자 방문 택시기사도 확진..뷔페서도 일해
- 윤병호 "생활고 시달려 돈 못갚아..이로한에 미안"
- 오리온 익산공장 20대 女 투신 "그만 괴롭혀라" 유서
- 저라뎃, 일베 용어 논란에 일베 방문했지만 활동은 안했다
- "숨진 경비원, 망가진 얼굴로 친형 찾아와 '살려달라' 호소"
- "윤미향은 제2의 조국" vs "싸잡아 비판 마"
- 韓반도체 40%는 중국행..화웨이 무너지면 삼성·SK도 타격
- 혜은이, 김동현과 이혼 심경 "참담하고 자괴감 들었다"
- [HUG 독점폐해][단독]보증 설테니 사업 '바꿔라'..또 갑질의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