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정비창 일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서울 도심 주택 공급 대책의 주요 부지로 선정된 용산역 철도 정비창 인근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됐다.
오는 20일부터 1년 동안 이 지역의 실거주 목적이 아닌 주택 매매는 사실상 금지된다.
지정 구역은 용산 정비창 부지를 비롯해 중산시범아파트, 삼각맨션 등 이촌2동(서부이촌동)과 한강로동 일대 재건축·재개발 사업구역 13곳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서울 도심 주택 공급 대책의 주요 부지로 선정된 용산역 철도 정비창 인근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됐다. 오는 20일부터 1년 동안 이 지역의 실거주 목적이 아닌 주택 매매는 사실상 금지된다.
14일 국토부는 중앙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정 구역은 용산 정비창 부지를 비롯해 중산시범아파트, 삼각맨션 등 이촌2동(서부이촌동)과 한강로동 일대 재건축·재개발 사업구역 13곳이다. 이촌1동(동부이촌동)은 이번에 포함되지 않았다. 국토부 토지정책과 관계자는 “서부이촌동은 용산 정비창과 가깝고, 사업 초기단계라 조합원 지위 양도가 성행할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지정 기간은 내년 5월19일까지 1년이다.
허가 대상 면적은 부동산거래신고법이 정한 기준면적의 10% 수준으로 크게 하향됐다. 토지 면적이 작은 도심 주택의 특성을 고려한 조처다. 이에 따라 주거지역은 18㎡(기준면적 180㎡), 상업지역은 20㎡(기준면적 200㎡)를 초과할 때 관할 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 지역에서 구청장의 허가 없이 매매 계약을 하면, 2년 이하 징역 또는 그 해 토지가격의 30%에 상당하는 금액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주거용 토지, 즉 주택 매입을 허가 받아 구매했다면 2년 동안 매매나 임대하지 않고 실거주해야 한다.
진명선 기자 torani@hani.co.kr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네이버 뉴스판 한겨레21 구독▶5.18 40돌 ‘다섯개의 이야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단독] 텔레그램 n번방 뒤에 '불법 도박방' 있었다
- 인천 초등생도 추가 확진..'거짓' 학원강사 과외 제자와 접촉
- 정준영·최종훈 판결에 '술 취한 선남선녀'가 왜 나와?
- 해킹당한 피해자 "내 영상이 도박 경품으로.."
- 성범죄인데 몹쓸짓? 남직원 안쓰면서 왜 여직원이래?
- 코로나19에 미국선 한국산 비데, 중국선 한국산 홍삼 열풍
- "정의당, 전면적 쇄신 필요하다"
- 백낙청 "진보 앞장선 한겨레, 기후·적정성장 담론 이끌기를"
- "한달 3일 공연계약 하는데..고용보험료 9개월치 내라니요"
- [포토] 독자와 함께 자라온 32년..진실의 버팀목을 다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