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대 1..서울 청약 경쟁 3년 새 9배 뛰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서울 평균 청약 경쟁률이 100대 1을 넘으면서 3년 새 9배 가까이 뛴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 100대 1일부 지역 미달에 '양극화' 지속13일 이데일리가 부동산114에 의뢰해 연도·지역별 청약 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올해 서울 청약 경쟁률은 105대 1로 나타났다.
경기도의 청약 경쟁률도 3년 새에 약 8배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 경기도 지역의 평균 청약 경쟁률은 40대 1을 기록, 2017년(5대1)과 비교해 8배 커졌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매년 증가하다 올해 첫 100대 1 넘어
양극화 여전..파주·용인 등 미분양
"앞으로 서울 청약 경쟁 더 과열 될 것"
[이데일리 황현규 기자] 올해 서울 평균 청약 경쟁률이 100대 1을 넘으면서 3년 새 9배 가까이 뛴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경기도의 평균 청약 경쟁률도 40대 1을 넘기면서 같은 기간 8배로 높아졌다. 그러나 청약 광풍 속에서도 비인기지역의 청약은 미달을 기록, 양극화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주택자·투기수요 등에 대한 정부 규제 강화에 따른 ‘똘똘한 한채’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서울 중심의 청약 인기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 100대 1…일부 지역 미달에 ‘양극화’ 지속
13일 이데일리가 부동산114에 의뢰해 연도·지역별 청약 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올해 서울 청약 경쟁률은 105대 1로 나타났다. 2017년 12대1을 기록한 것과 비교해 8.75배 증가한 경쟁률이다. 연도별로 보면 △2018년 30대 1 △2019년 31대 1의 경쟁률을 보이다, 올해 들어 급격히 상승한 것이다.
경기도의 청약 경쟁률도 3년 새에 약 8배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 경기도 지역의 평균 청약 경쟁률은 40대 1을 기록, 2017년(5대1)과 비교해 8배 커졌다. 경기도의 경쟁률도 올해들어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이다. 작년과 재작년 경쟁률은 각각 12대 1에 불과했다. 이 밖에도 대구 광역시와 인천광역시의 올해 평균 청약경쟁률은 각각 48대1, 35대 1을 기록했다.
두 지역이 청약 미달을 기록한 것은 4년 새 처음이다. 용인시는 △2017년 1.35% △2018년 9.9% △2019년 1.16%를 기록했다. 파주시도 △2017년 1.85% △2019년 1.54%의 청약 경쟁률을 보였다.
이 외에 울산광역시(0.29%), 강원도(0.66%), 전라북도(0.84%), 제주도(0.6%)가 미분양 지역으로 나타났다.
◇“똘똘한 한 채 수요 증가”…서울 200대 1 찍나?
전문가들은 다주택자에 대한 정부 규제가 지속되면서 똘똘한 한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결과적으로 직주 접근성이 좋은 서울 등 의 청약 경쟁이 더 뜨거워 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여경희 부동산 114 연구원은 “입지·직주접근성·교통 등 인프라를 모두 가지고 있는 아파트는 서울에 몰려있다”며 “대출 규제 때문에 매매로 아파트를 사기 어려운 상황에서 청약을 통한 서울 입성 수요는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주택자 규제로 인해 무주택자들도 여러 채의 저렴한 아파트에 투자하기보다는 서울과 같이 상품성이 높은 똘똘한 아파트 한채를 가지자는 인식을 가지게 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수도권 내 가평·양평·여주·이천·안성 등 자연보전권역에 속한 지자체를 제외한 거의 모든 지역 내 민간택지 분양권의 전매를 앞으로 규제하겠다고 밝혔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과거 수도권 일부 지역을 포함한 비인기지역의 청약 장점 중 하나는 ‘느슨한 전매제한’이었다”며 “이 장점이 사라진다면 청약 대기 수요는 모두 서울로 몰릴 수 밖에 없고 결과적으로 서울과 비서울의 청약 경쟁 양극화는 심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황현규 (hhkyu@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다 살리려다 모두 죽는다" 구조조정 변호사의 충고
- 미성년자 노예로 부린 '갓갓' 문형욱..현실선 "내성적인 아싸"
- 살살 때려줄게..경비원 폭행 주민, 가수에도 폭언·갑질 의혹
- '경비원 폭행' 가해자와 일한 가수도 신상공개..문제 없나
- 킹핀볼링장 흡연실, 특히 위험..수원시장, 집단감염 경고
- "지인에게 무차별 폭행당한 60대 아버지, 뇌 손상·실명 위기"
- 마스크 쓰고 거리두며 연습하는 선수들..모든 게 처음
- 코로나에 좁아진 고용시장, 청년·여성·일용직부터 밀려났다
- 알쏭달쏭 재난지원금, 편의점 배달 NO 기저귀 구매 YES
- 방역도, 기업 유턴도 성공한 대만..코로나에도 홀로 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