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법인가 절세인가..비규제 땅 노리는 부동산법인 [법인 부동산투자 성행..불법 거래 철퇴]
[한국경제TV 김원규 기자]
<앵커>
그간 편법 논란이 적지 않았던 부동산 법인을 통한 주택 거래가 최근 비규제 지역에 몰리고 있습니다.
가뜩이나 '풍선 효과'로 집값 상승세가 심상치 않은 상황에서 법인까지 가세해 기름을 붓지는 않을지 우려됩니다.
김원규 기자입니다.
<기자>
부동산 법인이 비규제 지역에 속한 주택을 잇따라 사들이고 있습니다.
전체 주택 거래 가운데 법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늘어난 곳은 의정부로 지난해 3.1%에서 올해 10.7%까지 증가했습니다.
특히 수도권의 대표적인 비규제 지역인 인천(4.5→9.7%)과 부천(3.9→8.5%)의 경우도 법인 비중이 두 배 넘게 늘었습니다.
같은 기간 서울과 경기 일부의 규제 지역이 1%p 내외 늘어난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정부가 부동산 대책을 통해 규제 지역을 차츰 확대하자 수도권 비규제 지역에 거래 `쏠림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부동산 법인의 이런 움직임에 대해 우려하는 시선도 적지 않습니다.
이미 `풍선효과`가 진행되는 가운데 법인의 비규제 지역 거래는 집값의 비정상적인 상승을 촉진할 수 있다는 이유에섭니다.
집값 안정화를 위한 정부의 고강도 대책이 연일 쏟아지는 상황에서, 이 같은 현상은 당분간 더 이어질 것이란 전망도 부담 요인입니다.
이에 따라 법인 거래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인 정부가 추가 규제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권대중 /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
"(부동산 법인 주택거래는) 실명 거래 위반입니다. 법인을 통해 구입하니까 편법이 되는 겁니다. 정부가 편법으로 법인을 설립해서 부동산을 매입하는 것에 대해 규제를 할 것입니다.
그간 법인 설립을 통한 부동산 거래를 두고 편법이냐 절세냐 하는 논란은 한층 더 달아오를 전망입니다.
한국경제TV 김원규입니다.
김원규 기자 wkkim@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중국 우한 '집단감염' 발생..코로나19 재확산 '공포'
- 배우 김민교 "반려견 사고는 내 책임..죄송하다"
- 김소연씨 전 남편 "슈뢰더 때문에 혼인 파탄" 소송
- 日 언론, 이례적 극찬.."한국의 영웅, 겸손하기까지"
- 이태원 클럽發 또 2차 감염..손자와 식사한 80대 할머니
- 미국에서 왜 한국 만두가 1등이죠?
- 출산 앞둔 최지우, '만삭 D라인' 근황 공개
- 삼성전자 폭식한 동학개미는 누구.."수도권 사는 40대"
- 박명수 딸 민서, 한국무용 영상 화제..'폭풍 성장'
- 55만원 '아이폰SE'를 사기 전 반드시 알아야 하는 것 [홍IT인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