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권 급매물 소화..추격매수는 잠잠" 서울 아파트값 0.04%↓
[아시아경제 김유리 기자] 이번주 강남권 급매물이 일부 거래되면서 서울 아파트값 하락폭이 축소됐다. 강남 대치동 은마와 송파 잠실동 잠실주공5단지 등 주요 재건축 아파트를 비롯해 잠실동 잠실엘스, 리센츠, 트리지움 등 일반 아파트도 급매물이 소화됐다. 일부 집주인들은 매물을 회수하거나 호가를 높이기도 했으나 추격 매수세로 이어지지는 않는 모습이다.
8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연휴로 인해 2주간의 시세 조사분이 반영됐음에도 불구하고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2주전 보다 하락폭(-0.07%)이 줄어든 -0.04%를 기록했다. 재건축 아파트와 일반 아파트가 각각 0.13%, 0.02% 떨어졌다. 이밖에 경기·인천이 0.05% 올랐고 신도시는 보합세(0.00%)를 나타냈다.
서울은 강남권을 중심으로 절세용으로 출시된 급매물이 거래되면서 하락폭이 축소됐지만 여전히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가 하락세를 주도했다. 지역별로는 송파(-0.18%), 강남(-0.13%), 강동(-0.12%), 마포(-0.09%), 서초(-0.05%), 동작(-0.02%) 등이 하락했다. 그 동안 상승세가 이어졌던 마포도 이번주 하락 전환됐고 동작도 등락을 반복했다. 송파는 2주전 0.35% 하락했지만 이번주 낙폭이 크게 둔화됐다. 문정동 올림픽훼밀리타운을 비롯해 잠실동 잠실주공5단지, 트리지움 등이 1000만~5000만원 하락했다. 송파는 잠실주공5단지 및 트리지움 등에서 일부 급매물이 거래됐지만 추격 매수세가 없어 약세가 이어졌다. 강남은 개포동 현대3차와 래미안블레스티지, 대치동 한보미도맨션2차, 래미안대치팰리스1단지 등이 500만~7500만원 하락했다. 강동은 둔촌동 둔촌주공4단지, 고덕동 고덕래미안힐스테이트, 명일동 래미안명일역솔베뉴 등이 1000만~2500만원 떨어졌다. 반면 노원(0.19%), 관악(0.12%), 서대문(0.11%), 중랑(0.08%), 성북(0.08%) 등은 상승했다.
신도시는 중동(-0.05%), 김포한강(-0.05%)이 하락했다. 중동과 김포한강은 대단지 중심으로 내렸다. 중동은 중동 한라주공3단지가 1000만원 정도 하락했고 김포한강은 구래동 김포한강IPARK가 600만원 가량 떨어졌다. 반면 평촌(0.04%), 일산(0.02%), 분당(0.01%)은 소폭 상승했다. 이외 신도시는 변동 없이 보합세(0.00%)을 보였다.
경기·인천은 경기 남부권 중심으로 올랐다. 수용성(수원·용인·성남)이 여전히 상승을 주도하고 있지만 상승폭은 꾸준히 둔화되는 모습이다. 지역별로는 오산(0.11%), 군포(0.09%), 성남(0.09%), 화성(0.09%), 부천(0.08%), 용인(0.08%), 안성(0.08%), 남양주(0.07%), 수원(0.07%) 등이 올랐다.
전세시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수요 움직임이 적어 안정세가 이어지고 있다. 전세가격은 서울이 0.02% 올랐고 경기·인천과 신도시가 각각 0.01% 올랐다.
서울 전세시장은 성북(0.12%), 동작(0.11%), 서대문(0.09%), 서초(0.09%), 용산(0.08%), 강남(0.07%), 노원(0.07%) 등이 올랐다. 성북은 종암동 종암2차SK뷰, 정릉동 길음뉴타운10단지(라온유), 길음동 길음뉴타운8단지(래미안) 등이 1000만~2000만원 상승했다. 동작은 상도동 e편한세상상도노빌리티와 흑석동 흑석한강센트레빌 등이 500만~2500만원 올랐다. 서대문은 북가좌동 DMC한양과 북가좌삼호, 남가좌동 쌍용스윗닷홈 등이 500만~1500만원 상승했다. 반면 전세 수요가 크게 감소한 송파(-0.16%), 영등포(-0.04%), 양천(-0.02%)은 하락했다.
신도시는 광교(0.05%), 동탄(0.03%), 일산(0.02%), 판교(0.02%)가 올랐고 파주운정(-0.04%), 분당(-0.01%)이 떨어졌다. 경기·인천은 용인(0.05%), 화성(0.05%), 고양(0.04%), 구리(0.04%), 군포(0.04%), 안양(0.04%), 광주(0.03%) 등이 올랐다. 반면 과천(-0.33%), 이천(-0.04%)은 하락했다. 과천은 전세 수요가 줄어든 가운데 지난해부터 올해 초까지 3400여 가구가 입주하면서 약세가 이어졌다.
고가 아파트가 몰린 강남권을 중심으로 급매물이 거래된 후 일부 집주인들이 호가를 다시 올리고 있으나 추격 매수세가 붙지는 않은 분위기다. 그 동안 오른 것에 비해 가격 하락폭이 작은 데다 추가 하락에 대한 우려로 섣불리 추격 매수에 나서지 않는 것으로 풀이된다. 임병철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국회가 '여대야소' 구도로 재편되면서 정부의 부동산 규제 정책에 더 힘이 실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서울 도심에 7만가구를 추가 공급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5.6 수도권 주택공급 대책'이 발표되면서 매수 관망세에 힘을 보탤 전망"이라고 말했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그냥 가입 안 할게요" 1시간 설문에 녹취까지…잡음 끊임없는 금소법[금융혁신:성장을 설계하다
- "사실은 출국 18~29일 전이 제일 싸요"…초고수들만 아는 항공권 구매 '꿀팁'[주머니톡] - 아시아경
- 목욕 후 '퉁퉁' 불며 생기는 손가락 주름…"매번 같은 형태였다" - 아시아경제
- 허경영, 유치장서 복통 호소 119행…"이상없어 복귀" - 아시아경제
- 승진 안해도 돼…2030 직장인 늘어나는 이유 - 아시아경제
- 신평 "홍준표 마음 돌리려 특사단? 화양연화 누리고도 욕하는 정치인" - 아시아경제
- 병원 가려던 주민도 '화들짝' 놀랐다…갑자기 관광객 늘어난 곳 - 아시아경제
- "아기 낳고 싶은데 결혼은 싫다" 바뀌는 2030…상승폭 여성이 더 커 - 아시아경제
- 모르는 사람이 어깨를 '툭'…일본서 난리났던 '어깨빵' 전 세계 확산 - 아시아경제
- 오너 아닌데 수 천억 재력가…주식재산 상위권 싹쓸이한 '이곳'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