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오르면 세입자도 웃는다..수익공유형 전세 첫 등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재개발 분담금이 부족한 집주인(조합원)이 분담금의 최대 절반 가량을 LH(한국토지주택공사)·SH(서울주택도시공사) 등 공공에 넘기고 재개발 아파트 지분을 10년간 공유하는 제도가 도입된다.
공적임대 주택 세입자가 분양 후 집값이 오르면 수익을 공유하는 전세주택도 첫 도입된다.
국토교통부는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LH·SH 등 공공이 참여하는 재개발 사업에 '지분형 주택'과 '수익공유형 전세주택'을 도입하기로 눈길을 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재개발 분담금이 부족한 집주인(조합원)이 분담금의 최대 절반 가량을 LH(한국토지주택공사)·SH(서울주택도시공사) 등 공공에 넘기고 재개발 아파트 지분을 10년간 공유하는 제도가 도입된다. 공적임대 주택 세입자가 분양 후 집값이 오르면 수익을 공유하는 전세주택도 첫 도입된다.
국토교통부는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LH·SH 등 공공이 참여하는 재개발 사업에 '지분형 주택'과 '수익공유형 전세주택'을 도입하기로 눈길을 끈다. 해외에도 없는 생소한 개념이다.
지분형 주택은 분담금 마련이 어려운 집주인이 LH·SH 등 공동시행자와 집을 공유(주택지분 공유)하는 제도로 집주인의 내몰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다.
수입이 부족한 집주인이 지분형 주택을 선택하면 공공이 잔금(50%)을 부담하는 대신 그만큼 주택 지분을 가져가는 것이다. 집 주인은 10년간 신규 분양 받은 집에서 살다가 이후 공공 보유 지분을 사들이면 된다. 매입이 어렵다면 매각 후에 개발이익을 공유한다.
종전자산가격이 분양가격 이하거나 무주택자가 지원 대상이다. 주거전용면적 60㎡ 이하면 이용할 수 있는데 내 집 마련 가능성을 고려해 집주인(입주자)이 지분을 최소 50%는 보유해야 한다. 10년 뒤에 매각이 가능하나 주택가격이 하락했다면 일부 손해를 볼 수도 있다.
수익공유형 전세주택은 세입자를 위한 제도다. 정부는 공공재개발에서 공급되는 공적임대 일부를 전세물량으로 공급한다. 주택도시기금이 출자하는 리츠가 시세 80% 수준에 8년간 거주할 수 있는 전세물량을 공급하는데 세입자는 임대보증금 중 약 5000만원 가량을 임대 리츠 주식으로 부여 받는다. 전세계약이 끝나거나 중도에 이사를 하면 전세보증금과 함께 리츠의 배당도 받는다. 리츠 수익이 마이너스가 나더라도 원금은 보장되기 때문에 세입자에게 무조건 유리하다.
월평균소득 120% 이하 청년, 신혼부부, 고령자에게 공급된다. 기존 공공지원 임대 임대료가 시세의 85~95%라는 점에서 수익공유형 전세주택 이용자는 임대료를 낮게, 추가수익(+α)도 누릴 수 있는 셈이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재난지원금 시장에서 안 쓸래요"..편의점으로 발 돌리는 이유
- '484억' 집 두채 진짜 내놓은 머스크.."여친은 화났다"
- "여보! 무조건 '만땅' 넣어"
- 한 달간 5조 팔아치운 외국인, 이 주식은 480억 샀다
- [단독]재난지원금, 부모님 모시고 살았더니 20만원 덜 받아
- 범죄 조직원에 가족 잃은 아이티 여성…독 든 만두로 40명 살해 - 머니투데이
- 대선주자 TV토론에 장외전도 치열…실시간 '팩트체크' 전쟁 - 머니투데이
- "임신 계획 중, 이날 부부관계" 여사친에 이런 말까지…이혼 될까요?[이혼챗봇] - 머니투데이
- "아직 이혼 안 당했냐" 진땀 흘린 추성훈…이번엔 냉장고 공개 - 머니투데이
- '임신' 서은우, 남자친구 또 저격…"내가 죽길 바라나"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