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영통구 아파트값, 1년간 22% 올라..1억5000만원 상승

김민기 2020. 4. 22. 10:1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와 보유세 급등,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이 크게 위축됐지만 수원 영통구의 아파트가격 상승세를 멈추진 못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3월 수원 영통구의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2000만원을 돌파했다.

지난해 3월 수원 영통구의 3.3㎡당 아파트 평균전세가격은 1176만2000원이었지만, 올해 3월에는 1267만6000원으로 전년대비 7.77% 상승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3㎡당 아파트 평균매매가 2000만원 돌파
수원 영통구 1분기 아파트 거래량 3996건..전년대비 75.4% 상승
[파이낸셜뉴스]정부의 부동산 규제와 보유세 급등,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이 크게 위축됐지만 수원 영통구의 아파트가격 상승세를 멈추진 못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3월 수원 영통구의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2000만원을 돌파했다. 이 일대 아파트 실거래가도 전년대비 약 1억5000만원 치솟았다.

이는 정부의 12·16부동산 대책 이후 9억원 초과 아파트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9억원 이하 아파트들에 대한 풍선효과와 교통호재가 만들어냈기 때문이다. 실제 수원 영통구의 3.3㎡당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은 전년대비 22%나 올라 수도권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 리브온의 주택가격현황을 살펴본 결과 지난해 3월 수원 영통구의 3.3㎡당 가격은 1659만4000원이었지만 올해 3월에는 2026만원으로 1년간 22.09% 상승했다. 경기도 전체 아파트 평균매매가가 상승률이 7.46%와 비교하면 약 3배나 높은 상승률이다.

수원 영통구 다음으로 3.3㎡당 아파트 평균매매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은 곳은 성남 중원구로 나타났다. 지난 2019년 3월 성남 중원구의 3.3㎡당 아파트평균매매가격은 1700만9000원 수준이었지만, 올해 3월에는 2047만6000원으로 나타나면서 1년 만에 20.38% 올랐다.

수원 영통구 일대 아파트 실거래가도 고공행진하고 있는 분위기다.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경기 수원 영통구 원천동에 위치한 ‘광교호반베르디움’의 전용 59.93㎡ 경우 지난해 3월 5억2000만원(24층)에 거래됐지만, 올해 3월에는 6억8000만원(15층)에 매매되면서 1년간 1억 6000만원이나 뛰었다.

경기 수원영통구 하동에 위치하는 ‘광교 호수마을 참누리레이크’ 전용 84.96㎡도 지난해 3월 7억6200만원(20층)에 거래가 이뤄졌지만, 올해 3월에는 8억8500만원(22층)에 매매되면서 1억 2300만원 상승했다.

수원 영통구의 3.3㎡당 아파트 평균전세가격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3월 수원 영통구의 3.3㎡당 아파트 평균전세가격은 1176만2000원이었지만, 올해 3월에는 1267만6000원으로 전년대비 7.77% 상승했다.

아파트 거래량도 치솟고 있는 분위기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수원시 영통구의 아파트 거래량은 3996건으로 지난 2019년 1분기 2278건보다 75.4%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1분기 수원 영통구의 아파트 거래량은 역대 두 번째로 지난 2013년 1분기 4736건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오대열 경제만랩 리서치팀장은 “수원 영통구의 경우 삼성디지털시티 삼성전자 본사를 비롯해 삼성전자 계열·협력사들이 있어 대기업 직주근접 지역”이라면서 “신분당선, 인덕원-동탄선 등의 교통호재도 있어 아파트 가격이 계속해서 치솟아 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kmk@fnnews.com 김민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