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아치는 '거래한파'..강남아파트 한달새 62% 줄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위축 등으로 3월 들어 서울·경기도 주요 지역의 아파트 매매거래량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부동산정보 업체 직방이 국토교통부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초고가 아파트 밀집지역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의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287건으로 2월(754건) 대비 62% 감소했다.
신고기한 30일을 고려하면 3월 거래량은 4월 말일까지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마용성' '노도강'도 감소세
13일 부동산정보 업체 직방이 국토교통부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초고가 아파트 밀집지역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의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287건으로 2월(754건) 대비 62% 감소했다. 규모별로 보면 주로 85㎡ 초과 중대형을 중심으로 감소세가 뚜렷했다. 한강변 아파트가 몰려 있는 ‘마용성(마포·용산·성동)’ 지역도 강남3구와 비슷한 흐름이었다. 지난달 거래량이 247건으로 2월(559건) 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다. 강북의 대표적 아파트촌인 ‘노도강(노원·도봉·강북)’ 지역은 강남권 초고가 아파트를 정조준한 12·16대책의 풍선효과로 2월 거래가 증가했다가 다시 감소하는 추세다. 2월 1,978건에서 지난달 895건으로 거래량이 줄었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 풍선효과 지역 거래시장도 위축되고 있다. ‘수용성(수원·용인·성남)’ 지역의 아파트 매매량도 지난해 8월 2,815건에서 올해 2월 8,655건으로 증가하다 3월(2,004건)에 급감했다.
단 이번 조사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에 7일까지 계약일이 신고된 거래량을 기준으로 한다. 신고기한 30일을 고려하면 3월 거래량은 4월 말일까지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직방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위축된 소비심리가 주택 매입 관망세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국내 경제성장 경로의 불확실성이 한층 커진 만큼 상당한 자산이 투입되는 주택 매입은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혁준기자 awlkwon@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면강의 거부하면 방역투입" 으름장 놓은 민갑룡
- '또 고민정 지원' 임종석 "文대통령 철학과 숨결까지 익혀..책임감으로 용기 낸 것"
- 한예슬 "정말 누가 꽃인거야" 벚꽃마저 기죽이는 미모
- 진중권, '180석 가능' 유시민에 "이제 마음이 놓이는 모양..윤석열 그만둘 사람 아냐"
- 손나은 '얼마나 더 섹시해지려고' 환상적인 복근에 깜짝
- "전주 한옥마을에 폭발물, 선미촌에 미성년자" 허위신고한 10대 "그냥 해봤다"
- 유세하던 홍준표 앞에서 골프채 휘두르며 욕설한 중년 남성..경찰 추적중
- 아직 결정 못하셨다면? 정당 궁합 테스트 해보세요
- 조보아, 이렇게 섹시할 수가..구미호도 울고 도망갈 미모
- 신세경 '정말 너무 예쁘다' 한눈에 푹 빠져버릴 미모에 두근두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