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NS돋보기> 부동산시장 '과열'.."시류에 흔들리지 않는 대책을"

2016. 9. 8. 10:2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정부가 지난달 25일 주택공급 물량을 줄이는 것을 핵심으로 한 가계부채 대책을 발표한 이후 부동산시장이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같은달 29일 "분양시장 과열이 지속되는 상황에 대비해 관계 부처 간 비상계획을 마련하고,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대비 태세를 갖추겠다"고 경고 메시지까지 보냈다.

하지만 부동산 114 조사에서 8월 마지막주 서울 아파트값이 0.23% 오르며 주간 변동률로는 연중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시장 '과열'은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인터넷에서는 장기적으로 실효성 있는 부동산 정책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많았다.

네이버 아이디 'edul****'는 "근시안적으로 접근하지 마라. 임기응변식 방안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적정한 원칙을 세운 후 시류에 흔들리지 마라"라고 주문했다.

같은 포털 누리꾼 'sunh****'는 "투기꾼들 때문에 정작 집 살 사람 못 사고 한숨 쉰다. 대책을 내놓아라"라고 요구했다.

다음 이용자 'Sybk5710'은 "투기세력 빼고 실수요자에게 적정한 분양가로 돌아가게 해라"라고 촉구했다.

"투기세력들 좀 잡아라"(다음 아이디 '닉네임'), "가구당 3채 이상 중과세 그리고 후분양제 실시해라"(네이버 아이디 'jmsa****') 등과 같은 요구도 나왔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비판 글도 많이 나왔다.

네이버 아이디 'h430****'는 "나라가 투기에 멍들고 있다. 정부는 국민에게 고통과 고난에 빠지게 만들고 있다. 누구를 위한 국가인지"라고 비판했다.

같은 포털 네티즌 'silv****'는 "있는 사람은 남아도는 돈을 투자 목적으로 쓰고 싶어 하고, 그 수요가 있으니까 투기꾼도 한몫 잡아보자고 날뛰고, 돈 없는 서민만 미칠 노릇이고 상대적 박탈감에 시달린다"고 한탄하기도 했다.

"지금이 꼭지입니다. 폭탄 돌리기 마지막쇼입니다"(네이버 아이디 'chch****'), "주택담보 대출자 10명 중 7명이 만기연장을 거듭하며 이자만 상환하는 현실을 볼 때 부동산 이미 끝났다"(아이디 'dang****') 등과 같이 부동산시장에 부정적인 전망을 내놓는 누리꾼의 지적도 나왔다.

aupfe@yna.co.kr

☞ '정우성 46억 사기' 방송작가, 다른 사기로 또 기소
☞ 야구 해설가 하일성씨 송파구 사무실서 숨진 채 발견
☞ 빚더미 안기고, 땅 팔고 사라진 자녀들…추석이 두려운 노인들
☞ 내년 추석연휴, 하루 휴가 내면 10일 연속 쉰다
☞ 주방에 바퀴벌레 냉장고에 곰팡이…중국집 위생 엉망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