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TV] 수도권 집값 "미분양 3만5,000가구면 하락"
닥터아파트 회원 10명중 5명은 수도권 미분양이 3만5,000가구가 넘으면 집값이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31일 닥터아파트는 지난 25~28일까지 닥터아파트 회원 1,573명을 대상으로 미분양 증가에 대한 긴급 이메일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과반수가 넘는 54.0%가 미분양 물량이 3만가구 이상(27.6%) 또는 3만5,000가구 이상(26.4%)이면 수도권 집값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수도권에서 하반기에 미분양 증가가 우려되는 지역(3곳 복수응답)으로는 서울 강북(48.4%), 화성(37.6%), 인천(37.2%)을 가장 많이 뽑았다.
또 지방에서는 대구(61.8%), 부산(52.7%), 세종(44.1%)이 1~3위를 차지해 하반기 미분양 급증 우려지역으로 꼽았다.
오는 12월까지 전국 미분양 물량(6월 현재 3만4,000가구)에 대해선 10명 중 8명(78.2%)이 미분양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중 39.9%는 5만가구 이상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어 38.3%가 4만가구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응답했다. 반면 줄어들 것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11.8%에 불과했다.
최근 미분양 증가 원인으로는 건설사의 밀어내기 분양으로 인한 공급과잉 때문이라는 응답이 41.7%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고분양가 때문이라는 응답이 31.5%를 차지했다. 3위는 7.22 가계부채 종합대책(10.8%)을 꼽았다.
7.22 가계부책 대책이 미분양 증가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선 “약간 영향을 줄 것이다”가 52.2%로 가장 많았다. 이어 “크게 영향을 줄 것이다”가 34.6%를 차지해 응답자의 10명 중 9명(86.8%)은 7.22대책이 하반기에 미분양을 증가시킬 것이라고 예측했다.
미분양 해소 방안으로는 분양가 인하(43.8%)와 건설사의 분양물량 공급조절(32.4%)을 가장 많이 지적했다.
한편 최근 미분양 사태의 심각 정도를 1점(전혀 심각하지 않다)에서 10점(매우 심각하다)으로 평가해 달라는 질문에는 과반수가 넘는 54.7%가 6~10점이라고 응답해 미분양 사태를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점수가 양극화됐다. 미분양 사태가 매우 심각하다는 10점이 10.7%를 차지했지만 전혀 심각하지 않다는 1점도 16.4%에 달했다.
정창신기자 csjung@sed.co.kr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럼프의 관세도박…韓에 결국 '25%' 때렸다
- TSMC 1000억弗 투자·日 '아부의 기술'도 안통해…中은 '즉각 반격'
- 韓관세, 트럼프는 '25%' 문서엔 '26%'…발표도 셈법도 엉망
- 베트남 46%·印 26% 폭탄…韓 스마트폰·가전·의류 생산기지 '타격'
- '정치권 반성이 통합 출발선…조급증 내려 놓고 역사의 힘 믿어야'
- '토허제'에 놀란 吳…압여목성 1년 연장[집슐랭]
- 동시접속 9만명…콘서트 예매 방불케한 '尹선고' 방청 신청
- 한덕수 '다음주 車산업 긴급지원책 발표'…재개 '과감한 지원'
- 모건스탠리 “韓 겨냥 미국 상호관세 예상보다 가혹” [마켓시그널]
- 애경산업 인수 저울질하는 PEF…매각가는 [시그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