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내린 용산개발]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 결국 디폴트

강도원 기자 2013. 3. 13. 09: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단군 이래 최대 부동산 개발 사업이라고 불리던 서울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결국 자금난으로 13일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지게 됐다.

용산 사업 시행사인 드림허브프로젝트(PFV)와 코레일,용산역세권개발㈜(AMC)에 따르면 대한토지신탁의 자금 지급 거부로 용산 사업은 디폴트 하게 됐다. 용산 사업은 향후 청산절차에 들어갈 예정이다.

당초 용산 사업은 12일 만기인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이자 59억원을 대한토지신탁이 제공하는 자금으로 막을 계획이었다. 대한토지신탁은 우정사업본부가 지급한 손해배상금 257억원 중 코레일이 지급 보증한 64억원을 드림허브에 지급해 부도를 막을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대한토지신탁이 자체 이사회를 열고 13일 자정경에 '리스크가 너무 크다'고 판단하면서 용산 사업은 자금 수혈이 어려워졌고 이에 따라 최종 디폴트 처리됐다. 대한토지신탁은 코레일의 지급 보증 부분에 더해서 가압류와 같은 명령 처분이 생길 경우 발생되는 리스크에 대해서도 보증을 요구했으나 이 부분을 합의하지 못하면서 자금 지급이 중단됐다.

용산국제업무지구 프로젝트는 철도공사(코레일) 소유의 서울 용산 옛 철도정비창 땅과 주변 서부이촌동 일대 사유지를 묶은 52만㎡에 세계적인 업무·상업·주거 복합 단지를 짓는 사업이다. 111층짜리 랜드마크 빌딩을 비롯한 67개 빌딩 등을 지을 계획이었다. 건물 전체 연면적은 338만㎡로 서울 여의도 63빌딩 20개를 짓고도 남는 규모다. 총 사업비는 31조원으로 4대강 살리기 사업(22조원)보다 규모가 크다.

사업이 본격 시작된 2007년부터 지금까지 투자된 돈은 4조원 안팎이다. 아직 건물은 착공도 하지 못했다. 돈 대부분이 땅값과 금융 이자를 내는 데 들어갔다.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이 좌초하면서 향후 사회적으로 후폭풍이 거셀 전망이다.

당장 1조원이 넘는 드림허브의 자본금은 허공으로 날아가게 된다. 코레일은 그동안 받았던 땅값 약 3조원을 모두 토해내야 한다. 이럴 경우 이 사업을 통해 누적된 부채 상환을 기대했던 코레일의 계획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대규모 소송전도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5년여간 재산권 행사가 금지됐던 서부이촌동 주민 2300여가구가 집단 소송에 나설 전망이다. 코레일을 비롯해 30여개 민간출자사 사이에서도 책임 규명을 위한 소송전이 벌어질 전망이다.

chosun.com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