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의 골 깊어지는 부동산시장] 꽁꽁 언 경매시장
7월 수도권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 80%대 아래로
수도권 경매 아파트의 낙찰가가 올 들어 처음으로 감정가의 80% 아래로 떨어졌다.
이는 경매시장에 나온 중대형 아파트에 대한 투자자들의 외면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부동산 경매전문업체 '지지옥션'은 3일 "지난 7월 수도권 아파트 경매시장의 평균 낙찰가율(낙찰가/감정가*100)을 조사한 결과 79.1%를 기록해 지난해 11월 이후 7개월 만에 낙찰가율 80% 대가 무너졌다"고 밝혔다.
지역별 낙찰가율은 서울이 79.8%였고 경기도는 79.2%, 인천은 75.9%를 기록했다. 버블세븐 지역 낙찰가율도 78.8%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형 아파트보다 중대형 아파트의 낙찰가율 하락이 두드러졌다. 85㎡(이하 전용면적) 이상 중대형아파트 낙찰가율은 76.7%로 나타났지만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는 82.8%의 낙찰가율을 보였다. 실제 길음뉴타운 대우푸르지오 114.8㎡는 감정가(6억1,000만원) 대비 70.5%인 4억2,999만원에 팔렸고 용산시티파크 150㎡도 감정가 대비 74% 수준인 14억원에 매각됐다. 인천 송도의 감정가 29억7,500만원 상당의 245㎡ 아파트는 19억5,300만원에 매각되기도 했다. 남승표 지지옥션 연구원은 "실수요자들이 받쳐주는 중소형보다 중대형 아파트들이 가격 하락을 주도했다"고 분석했다.
아파트 경매시장이 살아나기 위해서는 정책 환경의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남 연구원은 "2005년 수도권 동시분양 폐지, 2009년 기준금리 전격 인하, 2010년 DTI 규제 한시적 완화 등 정책 발표들이 시장 반전을 주도하며 낙찰가율이 상승하는 계기가 됐다"며 "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 80% 붕괴가 추세의 반영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정책 환경의 변화 없이 시장 내부에서 반전의 계기가 마련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황정수기자 pao@sed.co.kr
ㆍ "이러다 주택대란 온다" 작심하고 쓴소리 |
ㆍ 北이 군침 흘릴 한국군 정보를… '아찔' |
ㆍ 망언 일삼는 일본이 얼마나 괘씸했으면… |
ㆍ 짐승남을 끔찍하게… 그녀의 서슬퍼런 복수 |
ㆍ 의미심장 발언 던진 박근혜의 남자 |
[ⓒ 인터넷한국일보(www.hankooki.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美상무 '韓, 나 만나러 스코틀랜드까지 날아와' 트럼프 결정만 남은 듯
- 트럼프 '나머지 국가 상호관세율은 15~20%'…한국만 25% 떠안나
- “소비쿠폰 사용처 확인 어려워”…'한 방' 결제하는 시민들
-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 50억→10억…코스피 하락 중
- 與, 더 센 상법·노봉법 강행 처리에…野 '경제 파탄 책임져야 할 것'
- 李대통령, 이시바에 '한일수교 60주년 행사참석 감사' 서한
- 고개 드는 '조국 사면론'…野 '사면권이 전리품 나눠 먹기 수단인가'
- 韓산업장관, 英까지 트럼프 따라가 안간힘…'美상무, 더 만나 달라'
- 뉴욕증시, 금리·관세 '신중모드'…엔비디아 최고가, 테슬라 3% ↑ [데일리국제금융시장]
- 2나노 수율·안전성 입증…HBM 이어 파운드리도 반등 기지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