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의 골 깊어지는 부동산시장] 꽁꽁 언 경매시장
7월 수도권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 80%대 아래로
수도권 경매 아파트의 낙찰가가 올 들어 처음으로 감정가의 80% 아래로 떨어졌다.
이는 경매시장에 나온 중대형 아파트에 대한 투자자들의 외면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부동산 경매전문업체 '지지옥션'은 3일 "지난 7월 수도권 아파트 경매시장의 평균 낙찰가율(낙찰가/감정가*100)을 조사한 결과 79.1%를 기록해 지난해 11월 이후 7개월 만에 낙찰가율 80% 대가 무너졌다"고 밝혔다.
지역별 낙찰가율은 서울이 79.8%였고 경기도는 79.2%, 인천은 75.9%를 기록했다. 버블세븐 지역 낙찰가율도 78.8%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형 아파트보다 중대형 아파트의 낙찰가율 하락이 두드러졌다. 85㎡(이하 전용면적) 이상 중대형아파트 낙찰가율은 76.7%로 나타났지만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는 82.8%의 낙찰가율을 보였다. 실제 길음뉴타운 대우푸르지오 114.8㎡는 감정가(6억1,000만원) 대비 70.5%인 4억2,999만원에 팔렸고 용산시티파크 150㎡도 감정가 대비 74% 수준인 14억원에 매각됐다. 인천 송도의 감정가 29억7,500만원 상당의 245㎡ 아파트는 19억5,300만원에 매각되기도 했다. 남승표 지지옥션 연구원은 "실수요자들이 받쳐주는 중소형보다 중대형 아파트들이 가격 하락을 주도했다"고 분석했다.
아파트 경매시장이 살아나기 위해서는 정책 환경의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남 연구원은 "2005년 수도권 동시분양 폐지, 2009년 기준금리 전격 인하, 2010년 DTI 규제 한시적 완화 등 정책 발표들이 시장 반전을 주도하며 낙찰가율이 상승하는 계기가 됐다"며 "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 80% 붕괴가 추세의 반영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정책 환경의 변화 없이 시장 내부에서 반전의 계기가 마련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황정수기자 pao@sed.co.kr
ㆍ "이러다 주택대란 온다" 작심하고 쓴소리 |
ㆍ 北이 군침 흘릴 한국군 정보를… '아찔' |
ㆍ 망언 일삼는 일본이 얼마나 괘씸했으면… |
ㆍ 짐승남을 끔찍하게… 그녀의 서슬퍼런 복수 |
ㆍ 의미심장 발언 던진 박근혜의 남자 |
[ⓒ 인터넷한국일보(www.hankooki.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럼프 스톡커] 물가도 재정도 몰라 10월 금리 내리기 무섭네
- [속보] '하마스, 이르면 11일 이스라엘 생존 인질 전원 석방'
- 한국, 재정개혁 갈림길에 서있다…'세계를 보면 길이 보인다'[재정중독, 벌어진 악어의 입]
- [2025 노벨상] 노벨상 2관왕 일본…'기초 과학' 성과 두드러져
- 엔비디아·SK ‘AI칩 독주’ 깨졌다…오픈AI, AMD·삼성과 새 판 짠다 [biz-플러스]
- 공군 4대 운용…北 탄도탄 가장 먼저 탐지 ‘조기경보 레이더’ 뭐 있나[이현호의 밀리터리!톡]
- '저 진짜 탑니다'…'유느님' 유재석 선택한 바로 그 차, 얼마나 팔렸나 보니
- “사건의 시발점? 욕하신 건가요”…중·고등학생 국어 기초학력 미달률 5년 새 급증
- 국정자원 화재 전산망 25.5% 복구…핵심 시스템 22개 포함
- 배드뱅크·신용사면…본격화되는 李정부표 취약계층 금융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