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투데이 임헌섭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달 초 제너럴모터스(GM), 스텔란티스, 포드 CEO들과의 전화 회담에서 자동차 관세 부과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하며 "모두 안전벨트를 매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미국 자동차 업계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철회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판단하고 대응 전략을 재검토하는 분위기다.
17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백악관 사정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일 주요 자동차 업체 CEO들과 전화 회담을 진행했다고 보도했다.
이 회담에서 자동차 업계 대표들은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부과가 공급망 혼란과 매출 타격을 초래할 것이라며 철회를 요청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오히려 업계에 대비를 주문하며 강경한 입장을 유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회담 직후인 6일,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에 따라 일부 제품에 대한 관세 면제를 4월 2일까지 연장한다고 발표했다. 일견 업계의 요구를 수용하는 듯한 모습이었지만, 자동차 업체 CEO들은 이를 일시적인 조치로 보고 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안전벨트' 발언을 두고 "관세 철회는 없다는 신호"로 해석했다고 NYT는 전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1기 행정부 당시에도 관세를 협상의 지렛대로 활용해 왔으나, 현재는 관세를 경제 정책의 핵심 도구로 간주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과거에는 스티븐 므누신 전 재무부 장관과 게리 콘 전 백악관 경제고문 등이 관세 정책의 부작용을 지적하며 제동을 걸었지만, 현재는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정책을 강하게 반대하는 목소리가 내부에서 사라졌다는 것이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은 더 이상 관세를 협상 카드로만 보지 않는다"며, "그는 관세가 미국 경제를 다시 부흥시킬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통해 외국 정부와 기업들이 미국의 경제 정책 앞에 무릎을 꿇는 '구걸 경제(begging economy)'를 조성하고 있으며, 이를 자신의 권력 강화 수단으로 삼고 있다고 분석했다.
백악관 내부 관계자들은 외국 정부와 기업들에게 트럼프 전 대통령이 관세 문제에서 쉽게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NYT는 "일부 개별적인 관세 조치는 완화될 가능성이 있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전반적인 관세 정책을 철회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미국 자동차 업계는 관세 부과를 전제로 한 대응책 마련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