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과, 아이스크림 [우연한 하루]

조회 1,8612025. 3. 19.

"어떤 한 해를 보냈는지, 나눌 키워드를 준비해 와" 여행 일정을 조율하던 단체 톡방에서 A의 메시지가 툭 하고 올라왔다. 순간, 채팅방이 잠깐 잠잠해졌다. 수다를 떨어보자가 아닌 ‘키워드’라니.

같은 과 동기 A, 유학생이었는데 이제는 거의 한국인이 되어버린 워킹맘 B, 그리고 나. 우리는 20대 초반에 대학에서 만나 이십 년 가까운 시간을 함께 지나왔다. 한강공원에서 야경을 보며 고민을 나누던 취준생 시절, B가 임신했을 때 아기 엄마 고향 음식을 먹어야 한다며 중국까지 날아가 김이 모락모락 나는 해산물을 나눠 먹는 동안 기억들은 차곡차곡 쌓여갔다.

@ chatGPT 생성 이미지

뜬금없다고 느꼈지만, A라면 충분히 그럴 수 있을 것 같았다. 소소한 저녁 약속도 아기자기한 소품을 챙겨 이벤트로 만들어 버리는, A의 ‘키워드’라는 제안은 전혀 이상하지 않았다. 약속 날짜는 다가왔고, 우리 셋은 햇살이 가득 쏟아지는 어느 서점에 앉아 한참 수다 꽃을 피우던 중이었다. “이제는 준비한 키워드를 나눠 볼까?” A가 물꼬를 트기 시작했다.

‘배웅과 마중, 일상을 버티게 해 준 것들’ A가 꺼낸 지난 1년은 스트레스와 위축됨의 연속이었다. 부서를 옮긴 후 만난 팀장은 종종 그녀를 향해 날을 세웠다. 원하는 업무 속도를 내지 못한다며 면박을 주었고, 실수하는 날이면 ‘레드카드’를 언급했다. A는 진짜 퇴장 당하는 기분까지 들었다고 했다. 씁쓸한 표정을 짓는 그녀를 보며 그 순간이 얼마나 불편했을지 상상이 되었고, 무거운 기분까지 들었다.

하지만, 그녀의 이야기는 거기서 끝이 아니었다. 힘들었던 때를 버티게 해 준 순간들이 따라 나왔다. 첫번째는 엄마의 포옹과 함께하는 ‘배웅과 마중’이었다. A는 가끔 출근길에 발이 떨어지지 않고 숨이 막혀올 때가 있었다. 그럴 때마다 엄마는 문 앞에서 그녀를 꼬옥 안아주었는데, 이상하게도 따뜻한 품 안에서 서서히 숨이 쉬어졌다고 했다. 두번째는 ‘출근길, 카페의 사라진 쿠키들’이었다. 무슨말이지? 생각하던 시점, 그녀는 말을 이어갔다.

“출근할 때 항상 지나가는 카페가 있거든, 유리창 너머 내가 좋아하는 쿠키가 보이는데 어떤 쿠키가 더 팔렸는지 보면서 사람들의 표정을 상상했어” 그녀는 맛있게 먹고 있는 이의 얼굴을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입가에 미소가 지어졌고, 누군가의 즐거운 순간을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기분이 좋아졌다고 덧붙였다. 우리는 조용히 고개를 끄덕였다.

“너희 일상 속에도 이런 순간들이 있니?” 자연스럽게 B의 이야기로 이어졌다. 그녀의 키워드는 ‘복귀와 나만의 시간’ 이었다. 초등학생 두 아이와 시간을 보내려 신청했던 단축근무가 끝나자 마자 시아버지는 암 진단을 받았다. 남편은 외국에서 일했던 연유로, B는 보호자가 되어 수시로 병원을 오가야 했다. 예약, 진료, 수술, 입원 회복까지. 절대적인 그녀의 ‘시간’은 줄어들었다. 우리는 놀란 표정을 지었지만 B는 그래도 가족 옆에 자신이 있어서 다행이었다며 담담하게 말을 이어갔다.

B는 쉬고 있던 운동을 다시 등록했다. 일주일에 세 번, 숨이 차오르고 뚝뚝 땀을 흘리는 시간 동안 만큼은 온전히 자기 자신으로 존재했고, 덕분에 몸과 마음이 단단해졌다고 말했다. 아이들에게 야식을 주던 순간도 빼놓을 수 없었다. 늦은 밤, 살이 찔 까봐 음식에 손을 대지 않으면 딸은 아무렇지 않게 “엄마는 날씬하고 예쁘니까 하나쯤 먹어도 돼”라 애교 섞인 말을 건넸다. 나는 아이가 없지만 그 순간이 어땠을 지 짐작할 수 있었다. 세상 그 누구도 부럽지 않은 엄마의 기분이지 않았을까.

나의 키워드는 ‘외로움과 친구들’이었다. 나는 작년 하반기, 낮에는 회사를 다니고 밤에는 대학원 졸업논문을 마무리했다. 마지막 두 달 동안은 수정할 내용이 많아 자는 시간 빼고 컴퓨터 앞에 앉아 있기도 했는데, 때로는 손끝 뿐만 아니라 마음까지 저려올 때도 있었다. 놓고 싶을 때도 있었지만, 내가 아니면 그 누구도 대신할 수 없기에 혼자 버텨야 했고 외로웠다. 하지만 때로는 외롭지 않았다.

나의 일상에는 ‘작은 캐릭터 인형과 글’이 함께였다. 책상 위에는 손가락 한 두마디 정도의 크기에 분홍색 리본을 단 인형들이 줄지어 앉아 있었는데, 동그랗고 작은 눈들이 나를 바라보면 이유 없이 기분이 좋아졌다. 컴퓨터 배경화면에도 귀여운 캐릭터가 가득했고, 일부러 일주일에 두세번 배경을 바꾸기도 했는데, 그 순간 새 친구를 만나는 기분도 들었다. 글도 썼다. 시간을 내어 정돈된 문장을 쓰는 것이 아니라 흔들리는 지하철 속에서, 때로는 일하다 잠깐 모니터 귀퉁이에 메모장을 열었다. 속마음은 타이핑 속도에 맞춰 와르르 쏟아졌고, 가끔씩 쌓인 감정을 모아 정돈된 글을 만들었다. 헝클어진 마음은 정리되고, 차분함도 따라왔다.

배경화면으로 쓰던 그림 @최고심 인스타그램

이번 모임은 여행이라고 하기에는 반나절 정도의 일정이었지만, 여운은 오래도록 맴돌았다. 그리고 떠올랐다.

'행복은 기쁨의 강도가 아니라 빈도다, 행복은 아이스크림이다’ (서은국, 『행복의 기원』 중)

아이스크림이 행복이라면 녹아 내리기 전에 한 입씩 먹어주면 된다. 우리 셋의 지난 해를 돌아보면 ‘힘들었다’ 였지만, 하루의 100%가 힘든 순간만은 아니었다. 때로는 고달픈 하루 속에서도 아이스크림 한 입을 맛보는 순간을 찾았고, 그 시간들이 모여 흔들리던 하루를 무사히 넘길 수 있도록 우리를 지탱해 주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는 그렇게, 스치듯 찾아오는 달콤한 행복을 알면서도 모르게 누린 것 같다.

얼마 후 우리는 각자에게 선물을 보냈다. A는 뭉친 몸을 풀어주는 ‘마사지 볼’, B는 ‘초콜릿’두 상자, 나는 좋아하는 캐릭터가 그려진 ‘비타민’이었다. 세 가지를 한꺼번에 놓고 바라보니 우리는 모두 서로의 일상에 ‘나를 위해 주는 잠깐의 여유’를 선물했나 보다.

오늘은 야근이 길어질 예정이다. 퇴근 후엔 친구가 보내 준 초콜릿을 베어 물어야겠다. 달콤한 초콜릿이 혀끝에 닿으면, ‘오늘도 괜찮은 하루였다’로 마침표가 찍힐 것 같다.

@unsplash

* 글쓴이: 지은이
직장인 스트레스와 회복(Recovery)에 관심 많은 심리학자이자 회사원 입니다. 글쓰기가 좋은건 알겠는데, ‘어떻게 설명하지?’를 한참 고민하다 글쓰기를 활용한 심리학 연구를 하기도 했습니다. <세상의 모든 청년> 프로젝트에 참여했습니다.

일상 속에서 만나는 우연한 하루를 기록합니다. 건조하고 까칠한 일상 속에서 촉촉함 한스푼 더하는 하루를 함께 보내면 좋겠습니다.

https://brunch.co.kr/@recoverywriting


* https://stibee.com/allcuture 에서 지금까지 발행된 모든 뉴스레터를 보실 수 있습니다. 콘텐츠를 즐겁게 보시고, 주변에 널리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세상의 모든 문화'는 각종 협업, 프로모션, 출간 제의 등 어떠한 형태로의 제안에 열려 있습니다. 관련된 문의는 jiwoowriters@gmail.com (공식메일) 또는 작가별 개인 연락망으로 주시면 됩니다.

Copyright © 해당 글의 저작권은 '세상의 모든 문화' 필자에게 있습니다.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