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빙기 안전사고 집중 점검

조회 1442025. 2. 28. 수정

행정안전부가 해빙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전국의 사고 취약시설을 집중 점검합니다. 사면·급경사지, 공사현장, 저수지·하천의 제방 등 위험성이 높은 시설들을 점검하고, 발견된 위험 요소는 신속히 보수 및 보강할 계획입니다. 안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주민점검신청제'도 운영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정책주간지 'K-공감'을 확인하세요.

붕괴·산사태 등 해빙기 안전사고 요주의

✔ 4월 2일까지 사고 취약시설 점검
✔ 주민점검신청제로 점검 사각지대 해소
✔ 점검 결과 따라 즉시 시정

해빙기(2~4월) 안전사고에 대비하기 위한 ‘해빙기 안전점검 관계기간 대책회의’가 2월 14일 행정안전부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열렸습니다.

해빙기는 겨울철 얼었던 지표면이 녹아 지반이 약해지는 시기로 시설물 및 공사현장의 붕괴·전도나 사면 및 급경사지의 산사태, 도로 포트홀과 같은 안전사고 발생 위험성이 높습니다. 이에 행안부는 기관별 취약시설을 중심으로 안전관리 방안을 논의하고 이를 토대로 관계기관과 함께 4월 2일까지 사면·급경사지, 공사현장, 도로, 저수지·하천의 제방 등 취약시설 안전점검을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점검 결과에 따른 위험요인은 신속하게 보수 및 보강한다는 방침입니다.

점검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도 병행됩니다. 행안부는 지역 주민이 주변 시설물의 안전점검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한 ‘주민점검신청제’를 1월 23일 시작해 3월 14일까지 운영합니다. 주민점검신청제는 안전신문고 누리집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정부는 2024년에도 해빙기 안전점검을 통해 위험요인을 발굴하고 보수 및 보강 조치한 바 있습니다. 사면 2만 8393곳, 급경사지 2만 5409곳, 도로·옹벽·석축 5274곳, 건설현장 5218곳 등 중 8856곳에서 위험 요인이 발굴됐습니다.

경미한 사항이 확인된 4195곳에 대해선 즉시 시정이 이뤄졌고 위험성 때문에 즉시 시정이 어려운 4403곳에는 예산을 확보해 보수·보강을 추진했습니다. 결함이 필요한 곳에는 정밀안전진단 또는 중장기 검토가 이뤄졌습니다.

일례로 정부는 A지역에서 운영 중인 레저시설(집라인 타워) 일부가 기울어진 것을 확인해 즉시 통제하고 철거조치를 내렸으며 B지역 산 경사면에서 돌이 떨어지는 경우를 고려해 방지망을 설치하도록 했습니다.

이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해빙기에는 작은 부주의가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정부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취약시설을 꼼꼼히 점검하고 보완하겠다”며 “국민께서도 주변에 위험 요소를 발견하면 안전신문고를 통해 적극 신고해줄 것을 부탁드린다. 안전사고 예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당부했습니다.

출처: 이미지투데이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