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도 없애고 감각도 회복" 여성 상징 살려낸 유방암 새 수술법 '입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 여성 암 질환 발생빈도 1위가 유방암이다.
연구를 주도한 정준 교수는 "이번 논문은 유두 보존 유방절제술을 시행할 때 적용하는 방식에 따라 유두-유륜 복합체 감각 회복에 영향이 미침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유방암 치료와 재발 방지라는 근본적인 치료 목적에 더해 치료 이후 환자 만족도와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유두 보존 유방절제술 환자 감각 측정
'유륜 주위 절개' 감각 상실, '유방 밑 주름 절개'의 1.69배
우리나라 여성 암 질환 발생빈도 1위가 유방암이다. 과거엔 재발을 사전에 막기 위해 유방 전체를 잘라내는 유방 전제술을 많이 시행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환자가 느끼는 미용상 만족도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유두(젖꼭지)와 유륜(젖꼭지 주변의 젖꼭판) 모두를 최대한 살리는 유두 보존 유방절제술(Nipple-Sparing Mastectomy, NSM)도 다수 사용된다.
이런 미용상 만족도에 더해, 수술방식에 따른 '수술 후 피부감각 회복 여부'까지 살피는 정교한 유방암 치료 시대가 열렸다. 국내 연구진이 유두 보존 유방절제술 환자군을 대상으로 감각 상실 여부를 조사한 결과, 유륜 주위를 방사형으로 절개하는 방식이 유방 밑 주름을 절개하는 방식보다 약 1.69배 감각 상실을 가져오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유방외과 정준·국윤원 교수팀은 유방암 치료 후 자연스러운 유방 외관 유지가 가능해 환자 만족도가 높은 유두 보존 유방절제술이 시행 방식에 따라 유두-유륜 복합체 감각 회복 정도가 달라진다는 점에 착안해 연구에 돌입했다.
연구팀은 2019년 10월~2021년 11월 강남세브란스병원 유방외과에서 유두 보존 유방절제술을 받은 대상자 가운데 조건에 부합한 97명을 최종 연구 대상군으로 선정했다. 97명 중 65명은 유방 아래 주름(inframammary fold ; IMF)을 따라 절개를 시행했으며, 32명은 유륜 주변을 방사형으로 절개했다.
연구팀은 유두-유륜 복합체 감각 회복 정도 확인을 위해 바늘통각검사(pin prick test)를 사용했다. 유두와 유륜을 총 5개 구역으로 나눈 후, 각각 구역마다 통각이 느껴지는 정도를 3점 리커트 척도 0점-감각 없음, 1점-둔한 느낌, 2점-날카로운 느낌 등으로 표현하게 했다. 연구팀은 총 10점 만점 중 3점 미만인 경우, 유두-유륜 복합체 감각 상실로 처리했다.
연구 결과, 유방 아래 주름 절개군 감각 회복 평균 점수는 3.77±3.11점을 기록했다. 유륜 주위 방사형 절개군 평균 기록 점수 2.47±2.51 와 비교했을 때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P=0.043).<그래프A 참조>
총점 3점 미만인 감각 상실 상황을 살핀 결과도 보고됐다. 유륜 주위 방사형 절개군은 62.5%, 유방 아래 주름 절개군은 36.9%를 각각 기록해 유륜 주위 방사형 절개군이 약 1.69배 감각 상실 확률이 높음을 확인했다(P=0.017). <그래프B 참조>
연구를 주도한 정준 교수는 "이번 논문은 유두 보존 유방절제술을 시행할 때 적용하는 방식에 따라 유두-유륜 복합체 감각 회복에 영향이 미침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유방암 치료와 재발 방지라는 근본적인 치료 목적에 더해 치료 이후 환자 만족도와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외과학 분야 저명 SCI 학술지인 『국제 수술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Surgery)』 (IF =12.5) 최신 호에 '유두 보존 유방절제술에서 절개 위치에 따른 유두-유륜 복합체 감각 회복'(Nipple-areolar complex sensory recovery based on incision placement after nipple-sparing mastectomy: a prospective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이란 제목으로 소개됐다.
정심교 기자 simkyo@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5억 벌던 축구선수 반전 근황…"공장서 근무, 자다가 죽는 게 소원" - 머니투데이
- 알렉스, 9살 연하 아내와 '이혼'…"4년전 원만하게 결별" 이유는 - 머니투데이
- 음주운전 2번·뺑소니…김흥국 "살다보면 누구나 실수, 복귀 기회 달라" - 머니투데이
- 하루 600만원 벌어 호화생활 펑펑…유명 개그맨, 빚 파산 후 이혼 - 머니투데이
- "김건모 집 풍비박산"…성폭행 무고 '무혐의' 여성에 분노한 동료들 - 머니투데이
- 김정민 아들, 한국서 뛰다 유학→일본 국대…U-17 아시안컵서 득점 - 머니투데이
- 사극 단골 배우였는데…"처가살이하며 식당 주차관리" 무슨 일? - 머니투데이
- 완전 철수 못 한 헌재 앞 '차벽'…종로구 "일상 회복 위해 노력" - 머니투데이
- "여사장이 급소 때려, 성기능에 문제"…술집서 춤추다 벌어진 일 - 머니투데이
- 트럼프 따라 매일 출렁…똑똑해진 개미들, 환율 따져 환승한 곳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