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호에서는 우리가 기획한 공간을 어떠한 구조로 만들어야 할지에 대해 다뤘다. 건축물의 안정성과 내구성뿐만 아니라 적정한 비용과 직결되는 건축구조 방식은 공간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선택 사항이다. 우리 신체로 보자면 뼈대가 만들어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뼈대를 만드는 건축구조 방식을 결정한 이후엔 무엇을 먼저 고려해야 할까?
진행 이형우 기자 | 글 사진 정승권(플레이서스 대표)
진행 이형우 기자 | 글 사진 정승권(플레이서스 대표)
뼈대가 만들어져 외형이 그려지면 이제 어떠한 옷을 입을지 선택하는 순간과 마주하게 된다. 건축물의 외장재는 사람과 비교하면 옷을 입는다고 볼 수 있는데 계절에 따라 적절한 옷을 입어야 하는 기능적인 측면의 선택도 있고, 패턴과 컬러와 같이 개개인의 개성을 나타내는 심미적인 측면의 선택도 있을 것이다. 건축물의 외장재 역시 전체 공사비에서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는 만큼 여러 종류의 자재를 꼼꼼하게 분석하고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창호
창호는 단열, 소음 차단, 채광, 환기 등 주택의 생활환경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각각의 요소를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 주택 창호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주요 사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열 성능_ 단열 성능은 창호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단열이 잘되는 창호는 무엇보다 난방비 절약 효과를 높인다. 겨울에는 열교를 막아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함을 유지해주기 때문이다. 이중창 또는 삼중창을 사용할수록 단열 효과가 높아지는데, 로이유리(Low-E glass)와 같은 특수 코팅 유리를 통해 열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창호는 단열, 소음 차단, 채광, 환기 등 주택의 생활환경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각각의 요소를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 주택 창호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주요 사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열 성능_ 단열 성능은 창호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단열이 잘되는 창호는 무엇보다 난방비 절약 효과를 높인다. 겨울에는 열교를 막아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함을 유지해주기 때문이다. 이중창 또는 삼중창을 사용할수록 단열 효과가 높아지는데, 로이유리(Low-E glass)와 같은 특수 코팅 유리를 통해 열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소음 차단_ 건축물의 경우 개방감을 좀 더 확보하기 위해 창호 입면적 비율을 높이는 경우가 많다. 이럴 경우 도시나 소음이 많은 지역에서는 소음 차단 성능이 중요해진다. 이중유리 또는 삼중유리가 소음 차단에는 효과적이며, 필요에 따라 방음유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틈새 없이 밀폐력이 좋은 창을 선택하면 소음을 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창호 프레임_ 창호 프레임의 경우 소재에 따라 단열, 내구성, 유지보수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종류에 따라 장단점이 있는데 PVC 프레임의 경우 단열 성능이 좋고 경제적이다. 알루미늄 프레임은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나지만, 단열 성능은 PVC나 목재 프레임에 비해 낮다. 목재 프레임은 자연스러운 외관을 제공하고 단열 성능이 좋지만, 천연 소재란 특성 때문에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알루미늄 프레임에 목재를 씌운 프레임도 개발돼 사용되고 있다.
창호 프레임_ 창호 프레임의 경우 소재에 따라 단열, 내구성, 유지보수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종류에 따라 장단점이 있는데 PVC 프레임의 경우 단열 성능이 좋고 경제적이다. 알루미늄 프레임은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나지만, 단열 성능은 PVC나 목재 프레임에 비해 낮다. 목재 프레임은 자연스러운 외관을 제공하고 단열 성능이 좋지만, 천연 소재란 특성 때문에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알루미늄 프레임에 목재를 씌운 프레임도 개발돼 사용되고 있다.
디자인과 미관_ 창호 디자인의 선택은 건축물의 외관과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하기도 한다. 가령 모던한 스타일의 건축물은 프레임이 얇은 창이나 대형 슬라이딩 창을 선택할 수 있는 반면에 다소 클래식한 디자인의 건축물은 목재 프레임이나 일반적인 두께의 프레임 창을 선택할 수 있다.
유지보수와 내구성_ 건축비용 가운데 꽤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부분이므로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이 뛰어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알루미늄과 PVC 프레임은 내구성이 높아 유지보수가 적은 반면, 목재 프레임의 경우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유지보수와 내구성_ 건축비용 가운데 꽤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부분이므로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이 뛰어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알루미늄과 PVC 프레임은 내구성이 높아 유지보수가 적은 반면, 목재 프레임의 경우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외벽 마감
건축물(주택)의 외벽 마감재를 선택할 때는 내구성, 단열성, 미관, 비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외벽 마감재는 집의 외관뿐만 아니라 날씨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집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므로 신중히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외벽 마감재를 선택할 때 참고할 수 있는 몇 가지 주요 요소들을 살펴보자.
건축물(주택)의 외벽 마감재를 선택할 때는 내구성, 단열성, 미관, 비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외벽 마감재는 집의 외관뿐만 아니라 날씨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집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므로 신중히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외벽 마감재를 선택할 때 참고할 수 있는 몇 가지 주요 요소들을 살펴보자.
콘크리트 내구성이 뛰어나고 화재에 강하며 유지관리가 거의 필요 없다. 다만, 디자인 측면에서 제한적인 구현이 가능하다.
시멘트 사이딩 시공성이 좋고 견고하며 유지보수가 적은 편이다. 또 단열효과가 우수해 에너지 절약에도 효과적이다.
스톤(석재) 내구성이 높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고급스럽게 외관을 연출할 수 있다.
목재 자연스러운 느낌을 구현하기가 용이하고 상대적으로 다른 재료에 비해 단열 성능이 좋다. 다만, 정기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다(방수 및 방충).
알루미늄 패널 현대적인 느낌을 연출할 수 있는 데다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하지만 단열 성능이 낮은 편이라서 추가적인 단열이 필요하다.
벽돌 클래식하게 연출할 수 있으며 다양한 컬러 및 질감을 선택할 수 있다.
드라이비트 최근 가장 대중적으로 접할 수 있는 외장 미장 마감재로서 EIFS(Exterior Insulation Finish System, 외벽단열마감 시스템)가 정확한 명칭이다. 구조체 위에 EPS 단열재나 불연성 암면을 시공하고 유리섬유 메쉬를 붙인 후 최종 마감하는 외단열 공법이다. 입자의 굵기에 따라 다양한 텍스처 구현이 가능한 국내외 스타코 제품이 다양하게 외부 마감재로 소개되고 있다.
비용적인 측면에선 목재 ▶ 시멘트 사이딩 ▶ 드라이비트 ▶ 벽돌 ▶ 콘크리트 ▶ 알루미늄 패널 ▶스톤 순으로 비용 예상이 가능하다.
지붕재
지붕재 역시 주택의 외관과 기능, 유지보수 비용에 큰 영향을 끼친다. 지붕재는 내구성, 단열성, 방수 성능, 디자인 등에 있어 차이점들이 있으므로 주택의 스타일과 기후 조건에 맞는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붕재 역시 주택의 외관과 기능, 유지보수 비용에 큰 영향을 끼친다. 지붕재는 내구성, 단열성, 방수 성능, 디자인 등에 있어 차이점들이 있으므로 주택의 스타일과 기후 조건에 맞는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스팔트 슁글(Asphalt Shingle) 지붕재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제품 중 하나이다. 주로 주택용으로 사용되며,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이 있어 선택의 폭이 넓다. 가격이 저렴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다양한 스타일이 있어서 미관적인 선택이 가능하다. 다만, 수명이 약 20~30년으로 짧은 편이고, 기후에 따라 내구성이 약한 것이 단점일 수 있다.
금속 지붕(Metal Roofing) 알루미늄, 스틸, 구리 등의 금속으로 만들어진 지붕재로서 강한 내구성이 특성이다. 수명이 길고 방수와 방염 성능이 뛰어나며 무게가 가벼워 구조 부담이 적다. 다만, 초기 설치비용이 높고 우천 시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차가운 외관의 느낌을 줄 수 있다.
슬레이트 지붕(Slate Roof) 과거에는 시멘트를 성형해 저렴하게 만들어 보급됐지만 최근에는 환경적인 문제로 인해 국가적으로도 회수되고 있는 지붕의 종류이다. 하지만 천연 석재로 만든 슬레이트는 고급 지붕재로서 매우 뛰어난 내구성을 가지며 수명이 길고 방염 및 방수 성능도 우수하다. 다만, 중량이 커서 튼튼한 지붕 골조 구조가 필요해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 높은 편이다.
점토 타일 지붕(Clay Tile Roof) 점토 타일은 우리나라에서 흔히 점토 기와와 같은 종류로 일컬어지며, 클래식하거나 지중해 스타일의 주택 이미지를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높은 내구성과 방염 성능을 가지고 있고, 독특한 외관으로 디자인할 수 있다. 다만, 무겁고 깨지기 쉬우며 높은 설치비용과 추가적인 구조 보강이 필요할 수 있다.
건축물의 외관 디자인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인 창호, 외벽 마감재, 지붕재에 대해 재료의 종류별로 그 특징들을 살펴봤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장재는 우리가 입는 옷과 같은 개념으로 스타일을 드러내기도 하지만 단열, 방수, 내구성 등 집의 성능과 직결된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또한 눈이 많이 오는 지역, 바다와 인접한 지역, 비가 잦은 지역 등 우리가 집을 짓고자 하는 지역의 기후 환경에 따라 적합한 재료의 선택이 필요하다. 추구하는 집의 스타일과 더불어 외관의 성능, 유지관리 비용까지 고려한 선택은 필수적인 사항으로 볼 수 있다.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