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주 안 먹는 술, 살 안찔까?

조회 1,9002023. 8. 20.

 ‘적당한 술은 괜찮다’는 대중적 인식과 달리 여러 전문가와 관련 여구는 ‘술 한잔도 건강엔 이롭지 않다’는 결론을 내놓고 있다.

지난해 세계심장연맹(WHF)은 “알코올은 심장에 좋지 않으며, 안전한 권장 수준이란 없다. 어떠한 수준의 음주도 건강한 삶을 잃게 할 수 있으므로 전반적인 건강을 위해 술을 줄여야 한다”고 밝혔다. 세계보건기구(WHO)도 “술에 안전한 양은 없다”고 단언했다. 이미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술을 ‘1군’에 분류했다. 1군은 암을 일으키는 과학적 근거가 뚜렷한 ‘발암물질’이다.

이러한 전문 기관의 경고에는 모든 종류의 술이 포함된다. 지난해에는 하루 한두 잔의 와인 섭취도 몸에 이롭지 않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미국의학협회 저널 ‘자마 네트워크 오픈’에 실린 미국 하버드대 매사추세츠종합병원 연구팀의 논문에 따르면 약 40만 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적은 양의 알코올 섭취도 질병 위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하루 한잔 술을 마신 경우도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경고다.

동일한 저널에 최근 실린 논문에서도 비슷한 결론이 나왔다. 캐나다 알코올사용연구소(CISUR)는 성인 약 500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100개 이상의 기존 연구를 새롭게 분석했다. 그 결과, 여성이 하루에 25g 이상 알코올을 섭취하면 사망 위험이 증가했다. 이는 와인 두 잔 정도에 해당하는 양이다. 남성의 경우 하루 알코올 섭취량이 45g(약 3잔) 이상일 경우 사망 위험이 높아진 것으로 드러났다.

석기태 한림대 춘천성심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모든 술은 건강에 좋지 않다. 술은 장내 미생물이 독소를 분비하게 만들고 염증 반응을 유발한다”고 지적했다.

술이 몸에 이롭지 않은 이유는 또 있다. 바로 술이 가진 열량이다. “안주 없이 술만 마시면 살 찌지 않는다”는 말도 나돌지만, 이는 분명한 오해다.

알코올은 1g당 7㎉를 내는 고열량 성분이다. 동일한 양으로 탄수화물이 4㎉, 지방이 9㎉인 것을 감안하면 높은 수치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일반 소주 1병(360㎖)의 평균 열량은 408㎉, 맥주 1병(500㎖)은 236㎉다. 특히 최근 유행하는 위스키는 알코올 도수가 높기 때문에 칼로리가 더 높을 수 밖에 없다. 100㎖ 기준으로 위스키는 237㎉이며, 이는 ▷소주(205㎉) ▷사케(107㎉) ▷와인(73㎉)에 비해 높다.

여러 의학 전문가에 따르면 우리 몸은 영양소보다 알코올을 먼저 분해한다. 따라서 안주로 먹은 음식들은 알코올 때문에 분해가 뒷전으로 밀려나면서 중성지방으로 변하기 쉽다. 도수가 높을수록 알코올 분해도 오래 걸린다.

술을 줄이기 위해서는 최근 트렌드로 떠오른 무알코올 맥주 등을 이용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기존 주류에 비해 칼로리가 적으면서 술과 유사한 맛과 분위기를 낼 수 있다.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