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오른 통상협의...지역 차 부품업계 '촉각'
[앵커]
미국의 관세 공세 속에 열리는 한미 통상 협의에 자동차 부품업체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통상 협의 결과 다음 달로 예정된 25% 고율 관세가
철회될지 아니면 유지될지에 따라 부품업체의 존폐가 달려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1차 협력업체에 비해 영세한 2차, 3차 협력업체는 관세 부과가 치명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이종웅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진동과 소음을 방지하는 고무 제품을 생산하는
대구의 한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입니다.
국내와 미국 완성차 1차 협력업체에 납품하는 2차 협력업체로 다음 달 예정된 미국의 차 부품 25%
관세 부과에 걱정이 큽니다.
관세 부과가 현실화하면 매출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 김재윤 / 00 자동차 부품업체 대표 "(미국에서) 관세가 부과되면 거기에 따라서 자동차 판매도 저조하게 될 것이고, 자동차 부품 생산하는 업체 입장에서는 그런 부분을 다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제일 걱정이고요."]
대구의 또 다른 자동차 부품 업체도 비슷한 사정입니다.
[자동차 부품 업체(2차 협력업체) 직원 "완성차 물량이 줄어들면 (부품업체의) 매출이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하고, (대응책은) 능동적으로 찾을 수 있는 입장이 아니고 수동적인 입장이기 때문에 굉장히 어려운 점이 많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여기에 미국에 진출한 1차 협력업체가 2차, 3차 협력업체 부품 수입 때 물어야 하는 관세 때문에 미국 업체로 대체하면 거래가 끊길 수도 있습니다.
고율 관세에 따른 단가 인하나 관세 부담 전가도
영업이익률 3% 수준의 2차, 3차 협력업체에게는 치명타가 될 수 있습니다.
생존 자체가 위기를 맞을 수 있지만 활로를 찾기는
마땅치 않습니다.
미국에 진출한 1차 협력사처럼 2, 3차 협력사가 미국에 공장 설립을 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대규모 투자비와 관리 인력 확보가 어렵고 인건비 등 생산비를 따지면 이윤 확보가 불투명하기
때문입니다.
원가 절감을 위한 자동화나 디지털 전환도 다품종 소량 생산 방식에서는 한계가 있습니다.
제품 생산의 변동성이 커 설비 투자비를 회수하기
어렵습니다.
완성차에 이어 차 부품까지 25% 고율 관세 부과가
예정된 상황, 한미 통상 협의가 사태 해결의 물꼬를
틀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TBC이종웅입니다.(영상취재 고대승)
해당 기사의 타임톡 서비스는
언론사 정책에 따라 제공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