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 대는 물병, 세균 득실득실”…세척 제대로 못하면 재활용 금물
물병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박테리아의 번식지가 될 수 있다.
최근 BBC에 따르면, 재사용하는 물병 내부에는 박테리아가 하루 만에 수백만 마리까지 증식할 수 있다.
미국 퍼듀대학교 식품안전 전문가 칼 벤크는 본인의 물병을 닦다가 충격을 받았다.
그는 “종이 타월이 흰색이었는데, 꺼냈을 땐 누렇게 변했다.
내부의 미끈거림이 재질 때문이 아니라 박테리아 때문이라는 걸 깨달았다”고 말했다.
벤크 교수는 이후 대학 캠퍼스에서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물병을 빌려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대부분의 물병에서 다량의 박테리아가 검출됐다.
물은 깨끗해도 물병은 아닐 수 있다
싱가포르에서 진행된 한 연구에 따르면, 끓인 물조차도 하루 동안 사용된 물병 안에서 박테리아 수가 7만 5000마리에서 100~200만 마리까지 증가했다.
박테리아는 단순히 물에서만이 아니라 사용자의 손과 입을 통해서도 물병에 유입된다. 우리 입 안에는 약 500~600종의 박테리아가 존재한다.
또 손을 자주 씻지 않으면 대장균 같은 분변 유래 박테리아가 물병에 남을 수 있다. 타인과 물병을 공유하는 습관은 노로바이러스 등 전염병 전파 위험을 높인다.
단백질 셰이크나 설탕이 들어간 음료를 물병에 넣으면 박테리아가 더 빠르게 증식한다. 우유를 담아두었을 때 생기는 끈적한 막도 박테리아가 가장 선호하는 환경이다.
박테리아로 오염된 물을 마시면 설사나 구토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항생제를 복용해 장내 미생물 균형이 무너진 사람은 감염에 더 취약하다.
어떻게 세척해야 할까?
벤크 교수는 “뜨거운 물로만 헹구면 안 된다. 세제와 60도 이상의 뜨거운 물을 사용해 10분 정도 담가두고, 꼼꼼히 헹군 후 공기 중에 말리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특히 빨대, 뚜껑, 손잡이 등 물병의 작은 부위까지 세척해야 한다. 물병에서 냄새가 날 정도라면 이미 교체 시기라는 신호다.
영국 레스터 대학교 임상 미생물학 프림로즈 프리스톤 교수는 가장 위생적인 물병은 세척이 쉬운 물병이라고 강조했다.
결국 어떤 물병을 쓰든, 청결한 관리 습관이야말로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이다.
최강주 기자 gamja822@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속보]檢, 문재인 前대통령 뇌물혐의 기소…前 사위 특혜채용 의혹
- [김순덕 칼럼]이재명, ‘신뢰 리스크’ 깨려면 섀도캐비닛 공개하라
- 이재명 “2040년까지 한반도 에너지고속道 건설”…원전은 언급 안해
- 권성동 “이재명 세력, 대법원 향한 치졸한 압박 시작”
- 박찬대 “한덕수 출마는 제2 내란…망상 버리고 불출마 선언하라”
- 차갑게 식어가는 ‘철의 도시’… “40년 일한 공장까지 문닫아”
- [단독]美본토 B-1B 폭격기, 日기지에 추가 배치
- 김문수 “감사원 소속 감사관, 모든 부처·지자체에 파견·임명”
- 트럼프 “2~3주 안에 중국 관세율 정할 수도…매일 접촉”
- 젊은 대장암 급증, 장내 유해균이 만든 ‘특정 독소’가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