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돌아온 외인·기관 '쌍끌이'…반등 신호탄 될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초 신고가 탈환 이후 부진의 늪에 빠진 네이버의 주가가 다시 꿈틀대고 있다.
8개월째 '셀 코리아'를 외치고 있는 외국인이 네이버 주식에는 '매수' 버튼을 누르면서 상승 동력을 제공하고 있다는 평가다.
증권가에선 외국인 매수세의 복귀와 더불어 최근 네이버와 컬리의 전략적 업무 제휴를 주가 상승의 촉매제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외인·기관 나란히 순매수 1위로 주가 견인
올해 초 신고가 탈환 이후 부진의 늪에 빠진 네이버의 주가가 다시 꿈틀대고 있다. 8개월째 '셀 코리아'를 외치고 있는 외국인이 네이버 주식에는 '매수' 버튼을 누르면서 상승 동력을 제공하고 있다는 평가다.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네이버는 3.31% 뛴 19만3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44억원, 139억원가량을 순매수하면서 주가를 끌어 올렸다. 지난달까지 외국인의 주식자금이 8개월째 순유출을 기록 중인 가운데 이날 네이버는 외국인 순매수 4위, 기관 순매수 3위 종목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 9일 찍은 연중 최저가(17만6200원) 대비로는 9% 오른 셈이다.
앞서 중국발 '딥시크 쇼크'의 수혜주로 주목받아온 네이버는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던 이해진 창업자가 7년 만에 이사회로 복귀한다는 소식에 지난 2월 52주 신고가(23만5500원)를 탈환한 바 있다. 그러나 이후 특별한 악재 없이 주가가 고점 대비 25%가량 폭락하면서 투자자들의 우려를 자아내왔다. 같은 기간 코스피 하락률이 -9.58% 수준이었음을 고려하면 과도한 낙폭이었다는 평가다.
증권가에선 외국인 매수세의 복귀와 더불어 최근 네이버와 컬리의 전략적 업무 제휴를 주가 상승의 촉매제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이지은 대신증권 연구원은 "그동안 네이버의 취약점으로 꼽혔던 신선식품 새벽 배송이 컬리의 플러스스토어 입점으로 보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분석했다.
정호윤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 성장률이 올해 들어 한 자릿수 초반 수준까지 재차 하락한 가운데 음식료품은 여전히 두 자릿수의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이번 제휴는 양사에 윈윈"이라고 진단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신선 신품 거래액은 47조4000억원(전년 동기 대비 +15%)으로 전체 이커머스 시장의 18.2%를 차지한다.
지난해 국내 인터넷 플랫폼 기업 중 최초로 연간 매출 10조원 시대를 연 네이버는 올해도 견조한 실적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최승호 DS투자증권 연구원은 네이버에 대해 "국내 플랫폼 기업 중 가장 이익 성장 가시성이 높고 향후 AI 에이전트 상용화 시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한다"며 올해 예상 매출액을 11조9000억원(전년 동기 대비 +11.2%), 영업이익은 2조2000억원(+13.1%)으로 추정했다.
다만 국내와 글로벌의 AI 기술 격차가 나날이 커지고 있는 점은 네이버엔 숙제다. 최 연구원은 "글로벌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들이 AI에만 평균적으로 연 40조원을 상회하는 자본지출(CAPEX)을 집행하는 반면 네이버·카카오는 합산 자본지출도 2조원을 넘지 못한다"며 "하이퍼클로바X나 카나나처럼 벤치마크 상 우수한 성과를 내는 국내 모델들이 있지만, 자본투입과 성능이 비례하는 AI 산업 특성상 글로벌 AI와의 격차는 이제 좁히지 못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진영 기자 camp@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농담인줄 알았는데…사비로 직원 100명에 진짜 해외여행 쏜 대표님 - 아시아경제
- "교사는 고기반찬, 중학생은 양념만"…급식 사진에 중국 '발칵' - 아시아경제
- 황교안과 TV토론하던 무소속 후보…'전과 17범' 이력 화제 - 아시아경제
- "양치 직후 구강 청결제 바로 사용하면…" 치아 관리 전문가의 경고 - 아시아경제
- "빙수 한 그릇이요…카드결제 15만원 나왔습니다" - 아시아경제
- "기저귀 찬 아이가 마트에 있어요"…경찰 달려가 보니 - 아시아경제
- 일주일새 두 여성과 결혼하려던 공무원, '양다리 교제' 들통나 해고 - 아시아경제
- [단독] 중국 이직하려고 하이닉스 HBM기술 아이패드로 77장 찍었다 - 아시아경제
- "오늘 두 마리, 내일 더 풀거야"…개짖는 소리에 뱀으로 항의한 입주민 - 아시아경제
- '등골 오싹' 괴담 풀더니 건물주 등극…디바제시카, 128억 빌딩 매입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