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원인 헛다리 짚고 지하지도 무용지물… 구멍 난 싱크홀 대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강동구 명일동, 경기 광명시 등에서 잇달아 발생해 인명 피해를 동반했던 대형 싱크홀(땅꺼짐)은 지하 공사 부실이 주요 발생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대형 싱크홀 사고의 상당수가 지하 공사의 부실로 발생하고 있음에도 그간 지자체는 노후 상하수도관을 주요 원인으로 지목해 대책을 마련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달 광명시에서는 신안산선 터널 공사 도중 지반 붕괴로 길이 30m, 깊이 10m에 달하는 대형 싱크홀이 발생했다. 지난달 명일동에서 발생한 깊이 20m의 초대형 싱크홀은 지하철 9호선 연장 터널 공사가 원인으로 추정된다. 각각 인부가 매몰되거나 운전자가 추락해 숨지는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땅을 판 뒤 물이 새지 않도록 하는 차수 공사나 지반 붕괴를 막는 흙막이 작업을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이 그 원인으로 거론된다. 이처럼 대형 싱크홀 사고의 상당수가 지하 공사의 부실로 발생하고 있음에도 그간 지자체는 노후 상하수도관을 주요 원인으로 지목해 대책을 마련했다. 전문가들은 지하 공사 부실관리 책임을 피하려는 면피성 행정이라고 지적한다.
싱크홀을 예측하기 위한 지하 지도도 발표만 요란하게 하고 대충 만들었다 사용되지 않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2014년 서울 송파구 싱크홀 사고를 계기로 약 800억 원을 들여 ‘지하공간 통합지도’를 구축했다. 하지만 땅속 공동, 지반 침하 이력, 지하수 흐름 등 정보가 포함되지 않아 쓸모없는 지도가 됐다. 서울시도 지난해 8월 서대문구 연희동 싱크홀 사고 직후 ‘지반침하 안전지도’를 만들겠다고 했으나 지하 시설을 서면 조사로만 파악한 부실 지도여서 공개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길거리가 갑자기 꺼지고, 공사장이 붕괴하는 등 대형 싱크홀이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원인을 비껴간 급조된 대책 대신 대형 싱크홀의 원인부터 정확히 파악하고, 안전이 경시되는 지하 공사의 관리·감독부터 강화해야 한다.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1차 경선 尹신당론-한덕수 차출론 역풍”… 반탄-찬탄 결집 거세질듯
- “무덤은 장식 없이, 묘비엔 프란치스코 이름만 써달라”
- [단독]대형 싱크홀 원인 헛짚었다… 지하공사탓 최다인데 ‘누수 점검’만
- IMF “세계경제 80년만에 리셋중” 관세타격 경고
- 말 바꾼 트럼프 “파월 해고할 생각 없다”…금리 인하는 촉구
- 한덕수 출마 임박설 나오자… 민주당 “재탄핵 즉각 추진” 공세
- “위층서 성매매” 아파트에 전단, 층간소음 보복이었다
- 건진법사, ‘김건희 선물용’ 고가 다이아 목걸이 받은 의혹
- [박상준 칼럼]일본의 실패를 굳이 따라 하겠다는 한국
- “사전투표 논란 차단” 별도 참관단이 감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