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개 임상 성과' LSK글로벌PS…국산 신약 40% 맡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임상시험 수탁기관(CRO)인 엘에스케이글로벌파마서비스(LSK Global PS)가 재조합 단백질 탄저백신 '배리트락스주' 허가로 국산 신약 임상 수행 성과를 15개로 늘렸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LSK Global PS는 GC녹십자와 질병관리청이 공동 개발한 배리트락스주(GC1109)의 1, 2상 임상시험 전 과정을 담당하며 재조합 단백질 탄저 백신 개발에 핵심 파트너로서 일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9개 국내 신약 중 40% 임상 수행"
국내 임상시험 수탁기관(CRO)인 엘에스케이글로벌파마서비스(LSK Global PS)가 재조합 단백질 탄저백신 '배리트락스주' 허가로 국산 신약 임상 수행 성과를 15개로 늘렸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LSK Global PS는 GC녹십자와 질병관리청이 공동 개발한 배리트락스주(GC1109)의 1, 2상 임상시험 전 과정을 담당하며 재조합 단백질 탄저 백신 개발에 핵심 파트너로서 일조했다.
배리트락스주는 세계 최초의 재조합 단백질 탄저 백신으로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 받아 국산신약 39호로 등재됐다. 탄저병은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1급 법정감염병으로 GC녹십자는 생물테러 등 국가위기 상황 대비를 위해 질병관리청과 탄저 백신을 공동개발했다.
LSK Global PS는 배리트락스주의 임상시험을 2009년 1상부터 시작해 2011년 2상(Step 1), 2021년 2상(Step 2)까지 전 과정을 수행했다. 임상시험 준비부터 운영, 데이터 관리, 통계분석에 이르는 모든 단계를 담당했다.
특히 2상(Step 2)은 코로나19 팬데믹과 맞물려 진행되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LSK Global PS의 각 부서는 GC녹십자 임상팀과 함께 전문성과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결과를 이끌어냈다는 설명이다.
이번 배리트락스주의 허가로 LSK Global PS는 현재까지 국내에서 허가된 39개의 국산 신약 중 15개의 임상시험 수행 경험을 보유하게 됐다. 전체 국산 신약의 약 40%에 해당한다. 특히 2021년 이후 허가된 9개의 국산 신약 중 7개의 신약 허가에 기여했다.
이영작 LSK Global PS 대표는 "국내 생물테러 대비 백신 개발에 중요한 이정표가 된 배리트락스주의 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국산 신약 39호 탄생에 기여하게 돼 뜻깊게 생각한다. 앞으로도 LSK Global PS는 축적된 임상시험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더 많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신약 개발 성공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LSK Global PS는 현재까지 192건의 글로벌 임상시험을 포함한 총 1721건의 임상시험을 수행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임상시험의 고난도 분야인 항암제, 희귀 질환 치료제뿐만 아니라 탄저 백신을 포함해 74건 이상의 백신 임상시험 경험을 축적했다.
장종원 (jjw@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리종목 지정·상장폐지 위험'…단순 경고가 아니었다
- 100대 건설사 25곳 적자…부채비율 400% 초과도 다수
- HBM따라 뜬 'TC본더'…한미반도체 '노하우' vs 한화세미텍 '쩐' 격돌
- HBM 동맹 균열에 엄포 놓은 한미반도체…득실 전망 '팽팽'
- HBM 왕좌 굳히는 SK vs 반격 벼르는 삼전…'이것'으로 판가름
- 아웃도어 시장 '찬바람'…노스페이스만 살아남았다
- 엔씨·크래프톤이 외부 'IP' 모으는 이유
- 주식 투자자 표심 잡기 나선 이재명…증권사 리서치센터장 만난다
- [인사이드 스토리]방사청, 한화오션 처분 검토하는 이유
- 당뇨병 치료제 'SGLT-2 억제제' 경쟁 뜨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