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아카데미 시상식, AI 이용한 작품도 후보 배제 않기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아카데미(오스카상) 시상식 주최 측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작품도 후보 선정에서 배제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명확히 했다.
아카데미 시상식을 주최하는 미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AMPAS) 이사회는 21일(현지시간) 이런 AI 관련 내용을 포함한 내년 시상식 운영 규정을 발표했다.
다른 아카데미 후보작인 '에밀리아 페레즈'와 '듄: 파트2'도 AI 기술을 일부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각각 여우조연상·주제가상과 음향상·시각효과상을 받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아카데미(오스카상) 시상식 주최 측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작품도 후보 선정에서 배제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명확히 했다.
아카데미 시상식을 주최하는 미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AMPAS) 이사회는 21일(현지시간) 이런 AI 관련 내용을 포함한 내년 시상식 운영 규정을 발표했다.
이 단체의 새 규정에는 “영화 제작에 사용된 생성형 AI, 다른 디지털 도구들과 관련해 그 도구들은 (수상) 후보로 지명되는 기회를 돕지도, 방해하지도 않는다”는 내용이 명시됐다.
다만 이 규정에는 “아카데미와 각 분과는 수상작을 선정할 때 인간이 창의적 저작의 중심에 있는 범위를 고려해 그 성취도를 판단할 것”이라는 단서가 달렸다.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AI가 영화 제작에 이미 들어와 있다는 사실을 인정한 것만으로도 아카데미의 큰 변화라고 짚었다.
앞서 할리우드 작가와 배우들의 노동조합은 2023년 동반 파업 당시 영화 제작 현장의 AI 활용에 반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할리우드 현장에서 AI 활용은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지난 2월 오스카 시상식을 앞두고 10개 부문 후보에 오른 영화 '브루탈리스트'가 배우들의 헝가리 억양을 강조하기 위해 AI 기술을 썼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됐지만, 주연배우 에이드리언 브로디가 남우주연상을 받는 등 이 영화가 3관왕을 차지했다.
다른 아카데미 후보작인 '에밀리아 페레즈'와 '듄: 파트2'도 AI 기술을 일부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각각 여우조연상·주제가상과 음향상·시각효과상을 받았다.
미 언론 보도에 따르면 최근 할리우드 스타 데미 무어는 AI 앱으로 자기 반려견을 사람처럼 바꾼 사진을 온라인에 게시했다가 비판이 잇따르자 해당 사진을 삭제하고 사과했다.
NYT는 “AI를 둘러싸고 영화계의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고 전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LG전자, 전기차 충전기 사업 철수…캐즘에 3년 만에 중단
- 최태원 회장 “성장 공식 한계…EU처럼 韓·日 연합해야”
- SKT 가입자 유심 정보 유출…정부 비상대응 돌입
- 대법원, 이재명 공직선거법 위반 상고심 전원합의체 회부
- 세계 최초 'AI 로봇 시험관' 아기 태어났다… “정자 선별부터 배아선택까지 자동화”
- 이재명, '2040 석탄발전 폐쇄' '의대정원 사회합의'
- 삼성전자·LG전자, 인도 정부 상대 소송 ··· “전자 폐기물 가격정책으로 비용 상승”
- 소울소프트, AI 기반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솔루션 '재다' 사용자 확대 나선다
- KB라이프, GA 실적 '깜짝 1위' 이끈 연금보험
- 시행 5개월 남은 고준위 특별법...시행령 제정·기술개발 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