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에 고맙다고 하지마”…‘공손한 사용자’에 샘 올트먼 골치, 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챗GPT 등 인공지능(AI) 챗봇에게 '부탁해요', '감사합니다'와 같은 공손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기업 입장에선 막대한 비용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커티스 비버스 마이크로소프트(MS) 디자인 매니저는 "AI 챗봇을 존중하면 협력적인 결과물을 얻는 데 도움이 된다"며 "공손한 언어를 사용하는 것은 답변의 분위기를 조성한다"고 말했다.
AI 챗봇 이용자들은 AI와 대화를 나눌 때 공손한 말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일(현지시간) 미국 IT매체 퓨처리즘은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X(옛 트위터)에서 한 누리꾼의 질문에 내놓은 답변을 언급했다.
해당 누리꾼은 “사람들이 챗GPT에게 ‘부탁해요’, ‘고맙습니다’라고 말하는 것만으로도 오픈AI가 지불한 전기 요금이 얼마나 될지 궁금하다”고 질문했다. 이에 올트먼은 “수천만 달러”라며 “정확히 어떤 일이 벌어질지는 알 수 없다”고 덧붙였다.
챗GPT는 ‘답변해줘서 고마워’라는 단순한 인사에도 “천만에요! 더 준비하실 거 있으면 언제든 도와드릴게요”와 같이 답변하도록 설계돼 있는데, 이런 전력 사용이 쌓이다 보면 결코 적지 않은 비용으로 이어진다는 의미다.
워싱턴포스트가 캘리포니아대학교 연구진과 함께 100단어 분량의 이메일을 작성할 때 소비되는 전력량을 조사한 결과, 이메일 한 통을 보내는데 0.14kWh의 전기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ED 전구 14개를 한 시간 동안 작동시킬 수 있는 전력량이다. AI 이메일을 1년 동안 매주 한 통씩 보낸다면 무려 7.5kWh의 전력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워싱턴 D.C. 9가구가 한 시간 동안 소비하는 전력량과 거의 같다.
AI 챗봇을 움직이는 데이터센터는 이미 전 세계 전력의 약 2%를 소비하고 있다. 매체는 AI가 생활 전반에 스며들수록 이 수치는 더 가파르게 늘어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AI에 공손한 표현을 쓰는 것이 단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부탁해요’, ‘감사합니다’ 처럼 공손한 표현을 덧붙이는 행위가 실제로 AI의 응답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분석도 있다.
커티스 비버스 마이크로소프트(MS) 디자인 매니저는 “AI 챗봇을 존중하면 협력적인 결과물을 얻는 데 도움이 된다”며 “공손한 언어를 사용하는 것은 답변의 분위기를 조성한다”고 말했다.
AI 챗봇 이용자들은 AI와 대화를 나눌 때 공손한 말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글로벌 미디어그룹 퓨처 PLC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 응답자의 67%가 AI 챗봇과 대화할 때 정중한 표현을 사용한다고 답했다.
이 중 55%는 “옳은 일이기 때문에”라고 답변했으며, 12%는 “AI의 반란에 대응하기 위해서”라고 답했다. 이는 사용자가 AI를 인간과 비슷한 인격체로 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김승현 기자 tmdgus@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무덤은 장식없이, 묘비엔 이름만…바티칸 외부 성당에 묻어달라”
-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
- [단독]美공군 단 2대 보유한 정찰기 한반도 출격
- 이재명 “공공의대 설립해 의료인력 양성…의대정원 합리화할 것”
- 진성준 “한덕수 즉각 탄핵 추진” vs 권성동 “자신있으면 해보라”
- 5월 2일 임시공휴일?…“6일 황금연휴” vs “장사 도움 안 돼”
- ‘세차건’으로 불 질렀을 가능성…봉천동 방화범 부검-현장 감식
- SKT “해킹으로 가입자 유심정보 유출 정황”…당국, 비상대책반 구성
- 월급 오른 직장인 1030만명, 이달 건보료 평균 20만원 토해낸다
- 美국가안보 수장 가방 털려…“식당서 여권-현금 등 도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