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어구 청소 어업인 스스로"…해수부, 어업인 참여 폐어구 수거사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해양수산부와 한국어촌어항공단이 어업인이 직접 나서 그물, 로프 등 폐어구 수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에 나선다.
해수부는 어촌어항공단과 오는 23일부터 '어업인 직접 참여형 폐어구 수거 사업'을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조업을 할 수 없는 금어기와 휴어기 기간 등을 활용해 어업인들이 직접 폐어구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참여형 사업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어업인 스스로 수거한 폐어구에 '수거비' 지급
어업인 '어장 정화' 주체 자리매김 기대
[세종=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해양수산부와 한국어촌어항공단이 어업인이 직접 나서 그물, 로프 등 폐어구 수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에 나선다. 선정된 단체에는 폐어구 수거 실적에 따라 수거비를 지급한다.
이번 사업은 조업을 할 수 없는 금어기와 휴어기 기간 등을 활용해 어업인들이 직접 폐어구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참여형 사업이다. 어업인들은 평소 조업하던 어장에서 그물, 로프, 통발 등 폐어구를 수거하면 된다.
해수부는 어업인이 ‘어장 정화’의 주체가 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어업인이 스스로 어장 정화를 위해 나설 수 있도록 독려해 수산자원의 지속 가능성 확보, 해양환경 개선을 위한 책임은 물론 실효성을 높일 수 있다는 기대다.
공모 기간은 오는 23일부터 5월 9일까지다. 참여를 원하는 연근해 어업인 단체는 관할 광역시나 도, 시군구 등 지자체를 통해 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선정된 단체는 폐어구 수거 활동 실적에 따라 수거비가 지급된다. 폐어구 및 폐로프의 경우 100ℓ(리터)짜리 마대 기준 1만 2500원을, 200ℓ라면 2만 5000원을 받을 수 있다. 장어 통발은 개당 150원, 장어 통발 외 통발은 250원을 받는다. 또한 어업인들이 수거해 온 폐어구를 처리하기 위한 비용은 정부가 전부 부담한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어업인 참여형 폐어구 수거 사업은 어업인이 스스로 어장을 깨끗하게 관리하는 첫걸음이자 어업인이 주도하는 해양환경 개선 정책의 모범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어업인들의 작은 실천은 바다 생태계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며 “해수부도 앞으로 어업인과 깨끗한 바다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권효중 (khjing@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유심 정보' 털린 SKT…개인정보위 대규모 과징금 가능성
- "또 쉬냐" vs "6일 황금연휴"…5월 2일 임시공휴일 될까
- "살려주세요!"...처음 본 여성 쫓아가며 폭행한 10대 남성
- "그냥 쉴래요" 청년들이 구직활동 안 하는 이유
- 서효림, 김상혁과 불륜 루머에 황당 "이런 일이 있었어요?"
- 19금 영상 찍고 음란 채팅한 아내…“징그럽다”는 남편[사랑과 전쟁]
- 교황 선종에 전 세계 애도…각세웠던 트럼프, 장례식 참석 계획
- '아내 탄 차' 바다에 추락...뒤바뀐 남편의 운명 [그해 오늘]
- 서주경 "'당돌한 여자', 15년 간 한 달에 억단위 돈 벌어"
- "엄마 사랑해"… 제니, 美 코첼라서 울컥 소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