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국제기구 통해 북한에 GPS 교란행위 경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국제기구를 통해 북한의 위성항법시스템(GPS) 신호 교란 행위에 엄중히 경고하기로 했다.
외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달 10일부터 이달 4일까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제234차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이사회에서 한국이 제기한 북한의 GPS 신호교란 행위에 대한 심각한 우려 표명과 재발 방지 촉구 결정이 채택됐다고 22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심각한 우려 표명·재발방지 촉구
정부가 국제기구를 통해 북한의 위성항법시스템(GPS) 신호 교란 행위에 엄중히 경고하기로 했다.
외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달 10일부터 이달 4일까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제234차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이사회에서 한국이 제기한 북한의 GPS 신호교란 행위에 대한 심각한 우려 표명과 재발 방지 촉구 결정이 채택됐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결정에는 시카고협약 및 부속서상 원칙을 위반하는 GPS 신호교란에 대한 심각한 우려 재확인, 북한에서 발원한 GPS 신호교란 행위에 대한 중대한 우려 표명, 북한의 기존 이사회 결정 및 시카고 협약 등에 대한 엄격한 준수 강력 촉구, 북한에 재발 방지 보장 요구 등이 포함됐다.
ICAO 이사회는 의장 명의의 서한을 통해 북한에 이번 결정을 통보하기로 했다. 결정문은 6개 공식 언어로 대외적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ICAO는 국제 민간항공의 안전과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유엔(UN) 전문기구다.
정부는 앞서 북한의 GPS 신호교란으로 20개 이상 국가·지역의 4400여대 민간항공기가 영향을 받자 이를 ICAO 이사회에 정식 의제로 제기했다. 지난해 이사회가 최초로 북한을 GPS 교란 행위의 주체로 직접 지목하고 재발 방지를 요구하는 결정문을 발표한 지 4개월 만에 후속 결정문을 채택하며 북한에 대한 경고 수위를 높인 것이다.
정부는 주ICAO대표부를 통해 다수 이사국을 상대로 우리 입장을 적극 설명하는 한편 이사회에 과기정통부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의 전문가를 파견해 한국의 조사 결과 객관성을 설명하기도 했다. 정부는 “북한의 행동을 예의주시하면서 GPS 신호교란 행위와 같은 도발에 대해 국제사회와의 협력 하에 엄중하고 단합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하겠다”고 했다.
김윤수 기자 sookim@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인순이 “너무 예뻐서 그만”…김종민 아내 얼굴 공개 논란에 ‘사과’
- '콜드플레이가 정해준 다음 대통령은 나경원?'…분노한 팬들, 무슨 일?
- '우리 사귀잖아'…또래 여성 부모 자산 100억 빼돌린 20대
- '선수 출신은 반칙이지'…아들 운동회서 전력질주한 '마미로켓' 누군지 보니
- 한국인 관광객, 필리핀서 강도 총격에 사망…'가방 뺏으려는 강도에 저항하다 변 당해'
- '이 뿌리는 우리 거야'…길가 '나무 뿌리' 둘러싼 소유권 분쟁, 이유 보니
- '아들 동성애자' 윤여정 고백에…'2000년 홍석천 이후 처음' 예일대 교수가 한말
- '감옥 안에서 로맨틱 데이트'…이탈리아 교도소 '애정의 방' 문 열었다
- 제네시스 첫 컨버터블 출시 임박…동커볼케 '기술적 문제 없어'
- '오늘까지만 특가라고? 얼른 사야지'…온라인 명품 플랫폼들의 '거짓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