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해수욕장에 떠밀려온 미역 수십 톤…왜 이런 일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주 해수욕장에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많은 양의 미역이 밀려왔다.
지난 16일에 이어 17일 오전 이호해수욕장에 거센 파도를 타고 미역 더미가 밀려왔다.
강형철 제주도해양수산연구원 연구사는 "최근 떠밀려온 미역은 지난해 12월께부터 자라기 시작했던 것"이라며 "미역의 밑동을 포함한 전체적 상태가 좋은 것으로 볼 때 최근 4.5m에 달하는 강한 파도가 수일간 몰아치는 과정에서 물리적인 힘에 영향을 받아 떨어져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김경림 기자 ]
제주 해수욕장에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많은 양의 미역이 밀려왔다.
지난 16일에 이어 17일 오전 이호해수욕장에 거센 파도를 타고 미역 더미가 밀려왔다.
이에 제주시 소속 바다환경지킴이와 공공근로자 20여명은 이날 오전 8시부터 쓰레기 포대 수백개를 준비해 미역 수거에 나섰다. 트랙터가 동원됐지만 작업에 적합지 않아 사람 손으로 미역을 포대에 담아 치우는 작업이 반복됐다.
지난 16일 떠밀려온 미역의 양은 무려 20t 가량으로 알려졌다.
미역이 부패하기 시작하면서 악취와 함께 해충들이 꼬이기 시작해 주민과 관광객은 해수욕장에 들렀다가 발걸음을 돌려야 했다.
수십t에 달하는 미역이 백사장으로 떠밀려 온 이유를 놓고 일부 전문가들은 지난 주말부터 이어진 거센 풍랑으로 바위에 붙어 있던 미역이 떨어져 나온 것으로 보고 있다.
강형철 제주도해양수산연구원 연구사는 "최근 떠밀려온 미역은 지난해 12월께부터 자라기 시작했던 것"이라며 "미역의 밑동을 포함한 전체적 상태가 좋은 것으로 볼 때 최근 4.5m에 달하는 강한 파도가 수일간 몰아치는 과정에서 물리적인 힘에 영향을 받아 떨어져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강 연구사는 "단년생인 미역은 수온이 17도 가량일 때 포자 방출을 시작해 확산한 뒤 여름을 거치는 동안 휴면 상태에 있다가 지난해 12월 발아해 최근까지 성장에 적합한 수온이 유지되면서 왕성하게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그는 "얕은 수심에 있거나 떠밀려온 지 얼마 되지 않은 미역은 섭취가 가능할 정도로 상태가 좋다"면서도 "떠밀려온 미역을 먹는 것은 상태를 보고 신중하게 판단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 KIZM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키즈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동연 캠프, DJ 맏손자 김종대 씨 영입..."김대중 정신 실천할 후보"
- 이번 주말 잠실, 야구·콘서트로 '북적북적'..."대중교통 이용 당부"
- 안철수 "尹, 당 떠나라...이대로면 대선 필패"
- 내가 고른 집, LH가 저렴하게 재임대...'전세임대주택' 5천가구 공급
- 세계 최초로 도시 입장료 도입한 '이곳'…올해도 내야 해
- 美 청소년 10명 중 9명 "난 000 쓴다!"
- "학교 쓰레기통서 네가 왜 나와?" 줄행랑 친 교장선생님
- 의도적인 무게 늘리기? 킹크랩 '얼음치기'가 뭐길래
- 추석 낀 9월 마지막주, 코로나 확진자 감소세 둔화
- '애국 먹방'은 바로 이것?...쯔양, 킹크랩 16인분 '순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