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정부에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신청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1호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노리는 제주도가 정부에 공식 신청서를 냈다.
제주도는 산업통상자원부에 '신산업활성화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위한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16일 밝혔다.
향후 절차는 산업부와 한국에너지공단의 실무위원회 평가에 이어 에너지위원회 심의가 진행된 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은 5월 말 결론이 날 전망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1호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노리는 제주도가 정부에 공식 신청서를 냈다. 산업부와 한국에너지공단의 실무위원회 평가, 에너지위원회 심의를 거쳐 5월 말에는 지정 여부가 결론난다.
제주도는 산업통상자원부에 '신산업활성화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위한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16일 밝혔다.
신산업활성화형 분산에너지는 에너지 신기술을 활용한 신사업 모델을 기반으로 지역 단위의 혁신적인 에너지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제주도는 신청서에서 지역 내 분산된 에너지 자원들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인 가상발전소(VPP, Virtual Power Plant)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겠다고 설명했다.
통합 플랫폼을 기반으로 에너지저장장치(ESS), 차량-전력망 연계(V2G), 수요혁신이라는 세 가지 핵심 사업모델을 통해 재생에너지의 변동성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 체계를 확립한다는 것이다.
수요혁신 기술은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시간대별로 수요를 분산시켜 전력 계통 안정성을 높이는 기술이다.
수요반응(DR)이나 전기를 열로 변환하는 P2H(Power to Heat), 전력을 가스로 전환하는 P2G(Power to Gas) 등이 대표적이다.
향후 절차는 산업부와 한국에너지공단의 실무위원회 평가에 이어 에너지위원회 심의가 진행된 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은 5월 말 결론이 날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제주도는 다음달 13일까지 특화지역 계획에 대한 주민 의견 수렴을 진행하게 된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이 되면 2900억 원 규모의 민간 투자유치와 1900여 명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제주도는 기대하고 있다.
제주도는 또 에너지 신사업모델의 테스트 베드로서 재생에너지 확대 기반을 조성하고, 국내 산업의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제주도는 2022년 4월 산업부와 '제주형 분산에너지 활성화 기본계획'을 수립한 이후, 실무 협의체 운영을 통해 전문가 등과 지속적인 논의를 진행해왔다.
한국전력·한전KDN과 지난해 11월과 12월 업무협약을 체결한데 이어 올해 3월에는 제주지역 14개 국가 공공기관과도 업무협약을 했다.
- 이메일 :jebo@cbs.co.kr
- 카카오톡 :@노컷뉴스
- 사이트 :https://url.kr/b71afn
제주CBS 이인 기자 twoman@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尹 멘토' 신평, "이재명 여·야 통틀어 독보적" 호평한 이유는?
- [단독]'내란범들' 떼고, '尹어게인'만 남았다…아크로비스타 현수막 전쟁[오목조목]
- 17세 아이돌 연습생 '길거리 흡연' 물의…"관리 소홀 통감"
- "피해자 보호 의지 안 보여"…쯔양 경찰 조사 거부
- '인성 논란' 사과한 더보이즈 선우 측 "허위 사실 유포 악플, 경찰 고소"
- 김문수 '지지 행사' 혼선 끝 진행…장동혁 측 "지지 아냐"
- 산업부 "산·학·연과 함께 기술 사업화 패러다임 전환"
- 검찰, '구미 교제살인' 서동하 항소심에서도 사형 구형
- 정부, 내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 유력…내일 발표할 듯
- 국토부, '교통·건설·신재생 에너지' UAE 사업 수주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