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韓대행 측 “재판관 지명 효력정지, 각하해야”… 헌재, 오늘 평의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측이 14일 헌법재판소에 “권한대행의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후보자 지명은 적법하고,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은 각하해야 한다”는 취지의 답변서를 냈다. 헌재는 지난 9일 한 권한대행의 재판관 후보자 지명에 대한 헌법소원과 효력 정지 가처분 사건을 접수하고 주심 재판관(마은혁)을 지정한 뒤, 한 권한대행 측에 이날까지 답변서 제출을 요구했다고 한다.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한 권한대행 측은 이날 제출한 40여 쪽 분량의 답변서에서 “권한대행의 재판관 후보자 발표는 단순히 임명 의사를 밝힌 것에 불과하고, (가처분 신청) 당사자의 기본권을 침해하지도 않았다. 심판 청구 자체가 부적법해 각하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한 권한대행이 지난 8일 문형배·이미선 재판관 후임으로 이완규 법제처장, 함상훈 서울고법 부장판사를 지명하자, 법무법인 도담 소속 김정환 변호사는 헌법소원과 효력 정지 가처분을 신청했다. 김 변호사는 “임기가 얼마 안 남은 권한대행이 새 대통령의 재판관 임명 권한을 선취하는 것”이라며 재판관 후보자 지명이 위헌·무효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한 권한대행 측은 “재판관 후보자 발표는 헌법소원 대상인 ‘공권력 행사’가 아니다”며 “임명을 위한 내부적 절차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한 권한대행 측은 2017년 5월 문재인 전 대통령이 김이수 재판관을 헌재소장에 지명한 것과 관련해 헌재가 “문제없다”고 결정한 선례를 근거로 든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문 전 대통령의 헌재소장 지명에 대한 위헌 확인 소송이 제기되자, 헌재는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대통령의 지명 행위는 국가기관 사이의 내부적 행위에 불과하다”며 각하했다.
한 권한대행 측은 “헌법은 대통령 권한대행의 권한행사 한계를 따로 규정하지 않고 있다”며 “권한대행은 헌법이 정하고 있는 대통령의 모든 권한을 행사할 수 있고, 이러한 권한행사는 유효하다”고도 강조했다.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대통령 몫 재판관 후보자를 지명·임명할 권한이 있다는 것이다.
한 권한대행 측은 또 “정권 말기에 임명된 공공기관장이 정치 철학이 다른 새 정권 초반기에 공존할 수 있다”며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최재해 감사원장과 전현희 권익위원장도 윤석열 정부에서 임기를 유지했다”고 했다. 대선에서 선출될 후임 대통령의 인사권을 침해한 것이라고 볼 수 없다는 취지다.
헌재가 이날까지 한 권한대행 측 입장을 요구해 받은 만큼, 이르면 이번 주에 재판관 후보자 지명 관련 가처분 사건의 결론을 내릴 가능성이 높아졌다. 법조계에서는 “헌재가 오는 18일 문형배·이미선 재판관이 퇴임하기 전 후임자 문제를 서둘러 결정하려는 것 같다”는 말이 나왔다.
재판관들은 15일 평의를 열고 이 사건을 논의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재판관 5명 이상이 가처분 신청을 인용하면, 한 권한대행의 후임 재판관 지명은 효력이 정지된다. 헌재 관계자는 “통상 가처분 사건은 심리가 오래 걸리지 않아 빠르게 결론이 나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부터 이틀간 종로 일대에서 연등회 열려…서울 도심 교통 통제
- 늘어나는 대학가 ‘1000원 복지’… 아침 이어 저녁·매점까지 등장
- 블랙핑크 로제·제니, 솔로곡으로 영미 차트 장기 흥행
- 한덕수 대행 “한층 더 성숙한 민주주의 실현해 나가겠다”
- “힘 없는 사람들 돕겠다던 교황, 마지막 휴가는 67년 전”
- 아이돌 커밍아웃에 홍석천 “저한테도 좀 신선한 충격”
- 美 신임 SEC 위원장 “가상화폐 규제, 업계와의 협력 우선할 것”… 규제 완화 시사
- “내 아들 건들면 못참아”… 편의점 사장 협박한 엄마, 벌금 300만원
- 부산 공장서 1t 금형 넘어져 외국인 근로자 숨져
- 北, 5000톤급 신형 구축함 진수…김정은 “원양함대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