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쭉날쭉 여론조사… 민심인가 조작인가 [끝나지 않은 논란 ‘부정 선거’]
유권자 전부 조사 불가능, 필연적인 오차 발생
“답변 왜곡 가능” 자동응답전화 방식 도마 위
업체 성향·의도·질문 등에 따라 결과 차이 커
높은 응답률·편향성 없는 질문, 조사 신뢰도 높여
국민의힘 45.3% vs 더불어민주당 38.2%(B 여론조사 업체)
두 수치는 지난달 초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에 공표된 정당 지지도 조사 결과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선고를 앞두고 있던 시기였다. 당시 A업체는 7~8일, B업체는 5~6일 이틀에 걸쳐 조사를 진행했다. 모두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약 1000명에게 물어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 구체적으로 A업체는 “지지하거나 조금이라도 더 호감이 가는 정당은 어디입니까”, B업체는 “선생님께서는 다음 중 어느 정당을 조금이라도 지지하십니까”라고 응답자에게 물었다. 질문 내용에서도 특별한 차이는 없어 보인다. 그럼에도 두 여론조사 결과가 이렇게 큰 차이를 보이는 이유가 무엇일까.
◆전체 유권자를 다 조사할 수 없기에
여론조사는 조작될 수 있을까.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의도라는 표현을 썼다. 객관성을 담보하는 것이야말로 여론조사의 생명이지만, 일부 여론조사의 경우 의도가 있다면 방향을 틀 수 있다는 뜻이다.
이렇게 표본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한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1000명 조사는 ±3.1%포인트, 2000명 조사는 ±2.2포인트다. 1000명을 조사하면 6.2%포인트, 2000명 조사하면 4.4%포인트까지는 격차가 난다고 볼 수 없다는 의미다.
전영일 서울대 IPSAI센터장은 지난달 10일 국회에서 열린 ‘정치 여론조사와 보도의 공정성’ 토론회에서 “51%의 결과가 있을 때 표본오차를 고려하면 과반수를 득표했다고 보도하면 안 된다”며 “2인의 후보자가 표본오차 내에 있으면 특정 후보가 앞서거나 뒤지고 있다고 하는 것도 오류”라고 설명했다.
여론조사 방식에 따라서도 오차는 발생한다. 정치 여론조사 방식은 크게 전화면접조사(CATI)와 자동응답전화(ARS)로 나뉜다. 전화면접조사는 면접원이 직접 전화를 걸어 응답자와 대화를 하며 설문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반면 자동응답전화조사는 자동응답시스템을 이용해 미리 녹음된 음성으로 질문을 전달하고 응답자가 숫자 버튼을 눌러 답변하는 방식이다.
여론조사 학계와 업계에선 직접 사람이 조사대상자의 변수를 확인하고 조사를 하는 전화면접조사가 자동응답전화조사보다 더 나은 방식으로 본다. 전화면접조사의 경우 사람이 대화를 통해 조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생길 수 있지만, 이론적으로 자동응답전화조사가 오차가 생길 변수가 더 많기 때문이다.
여론조사를 의뢰·수행하는 기관의 성향에 따라서도 결과는 편향성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하우스 이펙트(House Effect)’라고 한다.
전문가들은 특정 정파성을 띤 업체는 이름 자체로 하우스 이펙트를 발생시킨다고 지적한다. 여심위가 공표한 이들의 여론조사 결과를 조작이라고 할 수는 없다. 다만 여론조사 전문가 C씨는 “조사를 할 때 처음 업체명을 밝히는데, 반대 진영 지지자들은 업체명만 듣고도 전화를 끊어버릴 수 있다”며 “그럼 결국 특정 진영 지지자들이 여론조사에 더 많이 참여하게 되고 표본 과표집 문제가 생겨 조사 결과가 왜곡될 확률이 커진다”고 설명했다.
업체가 구성한 질문 내용, 순서도 조사 결과를 결정짓는 요소로 분석된다. 2월2~3일 펜앤드마이크가 여론조사 공정에 의뢰해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무선 ARS 방식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윤 전 대통령 지지율이 51%(응답률 5.1%, 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포인트)가 나와 논란이 된 바 있다.
질문지를 보면 초반에 진보성향인 문형배·이미선·정정미 헌법재판관의 각종 의혹을 설명하고 적절성 여부를 묻는다. 이후 조사 마지막에 윤 전 대통령 지지도 문항이 배치됐다.
당시 더불어민주당 노종면 대변인은 “특정 성향은 도저히 조사에 응할 수 없는 질문들을 앞에 배치해 이탈을 사실상 유도한 뒤 마지막에 윤석열 지지 여부를 물으면 그 질문 응답자는 대부분 누구이겠는가”라며 문제를 제기했다. 이 같은 질문 내용과 배치는 보수·진보 양 진영에서 공통으로 문제를 제기하는 형태다.
전문가 D씨는 “여론조사 질문을 배열할 땐 뒤에 나올 질문의 답변에 영향이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한쪽의 안 좋은 점을 알려주는 것, 예를 들어 후보들 간 지지율 조사를 할 때 한 후보자의 범죄사실 등을 읊어주는 식의 조사는 업체에서 무언가 다른 의도가 있다고 의심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답변 형태와 개수도 결과에 영향을 끼친다. 가령 최근 많이 공표되고 있는 조기 대선 후보 가상대결의 경우 국민의힘 후보와 더불어민주당 후보만 조사하느냐, 아니면 보기에 ‘그 외 인물’같이 다른 선택지를 넣느냐에 따라 수치가 달라질 수 있다.
D씨는 “최근 조사를 보면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만 가상대결에 넣지만, 국민의힘에선 후보가 명확하지 않고 다양하다”며 “국민의힘 지지자지만 다른 후보를 지지해 그 외 인물을 선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실제 선거 결과와는 차이가 나는 조사”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높은 응답률이 정확한 조사를 담보하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한다. 다만 좋은 조사를 판가름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는 맞다고 입을 모은다. 애초에 목표로 했던 표본에 가장 가깝게 조사됐다는 의미여서다.
C씨는 “응답률이 높은 조사는 모집단에 더 가까울 개연성이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조사의 대표성을 보증하는 작업에서 응답률은 아주 중요한 지표”라며 “업체가 이 조사를 위해 들인 노력, 기본적인 요건을 갖춘 조사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여론조사 수치가 정수인지 소수점인지를 확인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소수점으로 제시한 조사는 이 조사가 정확하다고 티를 내고 싶어 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며 “그러나 기본적으로 여론조사는 표본오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소수점은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이유로 한국조사협회에선 정치선거 여론조사 결과를 정수로 제시하는 기준을 마련해놨다.
D씨는 “호남에서 국민의힘 지지율과 영남에서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어느 정도 나왔는지를 미리 확인하면 표본의 신뢰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그동안 그 지역에서 보인 양당의 지지율에 비해 조사에 나타난 지지율이 지나치게 높게 나왔다면 표본의 정확성을 의심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또 “질문에 편향성이 있는 조사는 경계하고, 질문 내용 자체가 쉬운 조사일수록 오차 발생 확률이 줄어들어 좋은 조사”라고 강조했다.
<1회>부정선거 불복의 역사
①[단독] 23년 간 지속된 선거불복 소송…그때의 기록들
https://www.segye.com/newsView/20250409519365
②보수는 왜 사전투표를 믿지 못할까
https://www.segye.com/newsView/20250410511025
<2회>부정선거 주장 팩트체크
①분류 때마다 달라지는 개표 숫자 ‘오류’ 아닌 ‘정밀함’…결론은 사람 손으로
https://www.segye.com/newsView/20250410517153
②선거인명부도 조작했다?…117세가 명단에 있던 이유
https://www.segye.com/newsView/20250411504916
③“우리가 중국 해커라고요?”… 선관위 간첩 체포는 없었다
https://www.segye.com/newsView/20250411506831
④‘소쿠리’부터 ‘특혜 채용’까지…불신 자초한 선관위, 감시·견제 커진다
https://www.segye.com/newsView/20250411508221
<3회>선거의 시작, 여론조사가 불안하다
①[단독] 과태료 50만원 내면 그만?…‘믿지 못할’ 여론조사업체, 관리감독도 ‘엉망’
https://n.news.naver.com/article/022/0004027022?ntype=RANKING&type=journalists
②들쭉날쭉 여론조사… 민심인가 조작인가
https://n.news.naver.com/article/022/0004027121?type=journalists
<4회>부정선거를 보는 국회의 시선
①“소송은 부정선거 의혹 해소 적합한 방식 아냐…정치권이 나서야”
https://n.news.naver.com/article/022/0004027148?cds=news_media_pc
②“부정선거, ‘지평설’과 유사…국민의힘 신앙촌 정치 중단해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4027243?sid=100
<5회>‘부정선거’ 아닌 ‘신뢰선거’로 <끝>
https://n.news.naver.com/article/022/0004027336?cds=news_media_pc
구윤모 기자 iamkym@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그냥 못 보겠다”…백종원, ‘90도 사과’ 뒤 곧장 달려간 이곳
- “보기 싫어!” 이재명 얼굴 친 이재민…지지자들, 기부 ‘취소’ 행렬
- 아빠 유전자 5% + 엄마 미모 몰빵…개그맨 오지헌 딸들 ‘믿기지 않는 외모’
- 전남편 15억 빚 갚는 중…61세 박해미 세 번째 결혼? 상대 누군가 했더니
- 방송서 속옷까지 벗었다... “정자 1억 개” ‘54세’ 男개그맨 정체
- “요즘 女공무원 너무 많아…산불 투입 어렵지” 울산시장 발언 논란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
- 예비신랑과 성관계 2번 만에 성병 감염…“지금도 손이 떨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