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성 인사 반복"…尹정부 공공기관장 47%는 총선 후 선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3년간 윤석열 정부에서 임명된 공공기관장의 절반은 작년 '4·15 총선' 이후 선임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최근 3년간 공공기관장과 상임감사의 임명·재임 현황을 ▲ 윤석열 정부 출범 전(2022년 5월 10일 이전) ▲ 출범 이후 총선 전(2022년 5월∼2024년 4월 14일) ▲ 총선 이후(2024년 4월 16일∼현재)로 구분해 분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관장 중 31.5%는 尹정부 관련 인물…직속 부서 출신 10여명
(서울=연합뉴스) 강태우 기자 = 지난 3년간 윤석열 정부에서 임명된 공공기관장의 절반은 작년 '4·15 총선' 이후 선임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약 31.5%는 정부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인물로, 여전히 공공기관 내 '알박기'와 '보은성' 인사가 반복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8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올해 3월 말 기준 공공기관 331곳의 기관장 304명과 상임감사 96명 등 총 400명의 임기 현황을 분석한 결과, 윤석열 정부에서 임명된 총 262명의 공공기관장 중 124명(47.3%)은 지난해 4·15 총선 후 부임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총선 이후 임명된 신규 기관장 124명 중 104명(83.9%)은 공석인 자리를 채우는 형태로 선임됐다.
리더스인덱스는 "이는 공공기관장 자리가 '선거 공신'에게 보은성으로 제공되는 관행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는 최근 3년간 공공기관장과 상임감사의 임명·재임 현황을 ▲ 윤석열 정부 출범 전(2022년 5월 10일 이전) ▲ 출범 이후 총선 전(2022년 5월∼2024년 4월 14일) ▲ 총선 이후(2024년 4월 16일∼현재)로 구분해 분석했다.
124명 기관장의 출신 배경을 살펴보면 관료가 47명(37.9%)으로 3분의 1 이상을 차지했다.
학계 33명(26.6%), 정계 15명(12.1%), 공기업 출신 13명(10.5%), 자사 출신 4명(3.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는 내부 승진보다는 외부 낙하산 인사가 압도적으로 많았다는 사실을 방증한다는 게 리더스인덱스의 분석이다.
상임감사 인사에서는 이런 특정 분야 편중 경향이 더욱 짙었다.
총선 이후 부임한 상임감사 인사는 25명이었는데 이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12명(48%)이 관료 출신이었고, 6명(24%)이 정계 출신이었다.
또 공공기관장·상임감사 149명 중 55명(36.9%)은 윤석열 정부와 직간접적으로 관련 있는 인물로 파악됐다. 기관장의 경우 39명(31.5%)이, 상임감사는 16명(64%)이 해당된다.
대통령실 등 윤석열 정부 직속 부서에서 근무한 인사도 10여명이었다.
burning@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경찰, 박나래 자택 절도 피의자 검거…"단독범행·전과 다수"(종합2보) | 연합뉴스
- 서울 관악구 삼성동 재개발지역 지반침하 신고…통제 중 | 연합뉴스
- 천안서 부부싸움 끝에 추락한 부부 숨져…자녀 1명 다쳐 | 연합뉴스
- 경찰, '쯔양 협박 혐의' 김세의 불송치…검찰, 보완수사 요구 | 연합뉴스
- 재판 나온 피고인 윤석열…주소 묻자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 연합뉴스
- "물 마시러 가다가 갑자기 폭삭"…'구사일생' 굴착기 기사 생존담 | 연합뉴스
- "여직원들만 남아라"…고창군의원이 노래방서 부적절한 접촉 | 연합뉴스
- 신나치 심취 美 고교생, 트럼프 암살 자금 확보하려 부모 살해 | 연합뉴스
- 경찰, '대마 양성반응' 이철규 아들 투약 혐의도 수사 | 연합뉴스
- 美하버드대 인근서 성매매업소 운영 40대 한인여성 징역 4년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