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흘간 서울 면적 80% 삼킨 괴물 산불… 이젠 1m 낙엽 속 ‘잔불 전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남 산청군에서 발생해 열흘간 이어진 동시다발 산불로 서울 면적(6만 520㏊)의 약 80%에 달하는 산림이 초토화됐다.
산림청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21일 이후 발생한 11개 중대형 산불로 인한 산림 피해(잠정)는 4만 8236.6㏊로 집계됐다.
5개 시군을 불바다로 만들며 149시간 만에 꺼진 산불은 축구장(0.7㏊) 6만 4000여개, 여의도(290㏊) 156개 면적의 산림을 잿더미로 만들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리산 위협했던 산청 주불도 잡혀
곳곳 재발화, 완진까진 최소 1주일
지자체별로 ‘숨은 불씨’ 관리 총력
경남 산청군에서 발생해 열흘간 이어진 동시다발 산불로 서울 면적(6만 520㏊)의 약 80%에 달하는 산림이 초토화됐다. 건조한 날씨와 잦아진 강풍을 타고 불씨가 삽시간에 퍼지며 30명이 숨지는 등 역대 최악의 인명 피해가 났다. 지난 21일 발생한 경남 산청 산불은 213시간 만인 30일 오후 1시 주불이 잡히면서 잔불 정리 체제로 전환됐다. 다만 안동, 청송 등에서 꺼진 불이 바람을 타고 재발화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완전 진화까지는 최대 일주일이 필요할 전망이다.
산림청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21일 이후 발생한 11개 중대형 산불로 인한 산림 피해(잠정)는 4만 8236.6㏊로 집계됐다. 9개 산불이 집중된 영남에서 30명이 숨지고 45명이 다치는 등 사상자 75명이 발생했다. 22일 경북 의성에서 발화해 안동·청송·영양·영덕 등 5개 시군으로 확산한 경북 북부 피해가 가장 컸다. 전체 산림 피해의 93.7%(4만 5157㏊)가 집중됐다. 역대 최대 피해로 기록된 2000년 강원도 동해안 산불(2만 3794㏊)의 2배에 달한다.
5개 시군을 불바다로 만들며 149시간 만에 꺼진 산불은 축구장(0.7㏊) 6만 4000여개, 여의도(290㏊) 156개 면적의 산림을 잿더미로 만들었다. 초속 27m의 강풍을 타고 시간당 8.2㎞ 속도로 의성에서 80㎞ 떨어진 동해안 영덕까지 12시간 만에 확산한 ‘괴물 산불’이 확인됐다. 산불의 속도와 방향이 예측 범위를 벗어나며 경북에서만 26명이 숨지고 33명이 다쳤다. 진화 헬기가 추락해 조종사가 사망하고 산불 현장에 투입됐던 대원 4명이 불길에 갇혀 유명을 달리했다. 주택과 시설 6192개, 국가 지정 11건·시도 지정 19건 등 총 30건의 문화재도 화마 피해를 입었다.
기후변화로 산불이 일상화하고 대형화된 가운데 동시다발 산불에 대응할 수 있는 국가 재난 체계는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열악한 지형과 울창한 산림 등도 진화의 발목을 잡았다. 지리산까지 침범한 산청 산불은 전날 진화율이 99%를 기록했지만 주불 진화까지는 22시간이 더 필요했다. 산청·하동 산불 피해 면적(1858㏊) 중 국립공원이 132㏊로 잠정 집계됐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이날 “지리산은 소나무 등이 빽빽해 헬기로 공중에서 물을 뿌려도 지표면까지 도달하지 못했다”며 “불을 끄려면 지상 인력이 임도가 없는 해발 900m 지점까지 들어가야 하는데, 낙엽이 최대 100㎝나 쌓여 진화 인력·장비 투입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설명했다. 더욱이 산불로 연기와 안개가 섞인 연무가 생겨 헬기 가동에도 차질이 빚어졌다. 이날 헬기와 인력 등을 투입해 나머지 잔불 진화에 나선 산림당국은 전체 잔불 정리 등에 최대 일주일은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전 박승기·창원 이창언·전주 설정욱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서예지, ‘김수현 양다리’ 루머에 직접 입 연 후 무거운 심경 밝혔다
- ‘日모델과 열애설’ 오상욱 “여자친구 없다…해명할 이유 없어”
- 귀 아프다며 잠깐 누운 남편, 3시간만에 죽게 만든 ‘이 병’
- “두개골 뚫었다”…사탕 먹다 넘어진 6살, 11㎝ 막대 뇌까지 관통
- ‘47세 미혼’ 하정우, 결혼·2세 계획 밝혔다 “아이 커가는 걸 볼 때 소외감”
- “우리집 도마 썩었어요” 추성훈 헛구역질…진짜 위험한 이유
- “야구 보러 간 자매, 경기장 구조물 추락해 머리 수술” 결국 경기 취소
- “남편의 성폭행 용서해주세요” 10대 피해자 자꾸 찾아간 60대 아내 결국
- ‘중요 부위’에 변화 생기더니…‘이 암’ 진단받은 운동광 男 ‘충격’
- “이교도” 극우 美국방장관 팔뚝 문신…혐오 적나라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