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자산운용사 순익 1조8099억원…13% 증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펀드 시장 성장세가 이어짐에 따라 지난해 자산운용사의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13% 늘었다.
30일 금융감독원이 공개한 '2024년 자산운용회사 영업실적'에 따르면, 자산운용사 당기순이익은 1조8099억원으로, 전년(1조6023억원) 대비 2076억원(13.0%) 늘었다.
자산운용사 운용자산은 1656조4000억원으로, 전년(1482조6000억원) 대비 173조8000억원(11.7%) 증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장 변동성 확대 대비해 자산운용사 지속 점검"
펀드 시장 성장세가 이어짐에 따라 지난해 자산운용사의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13% 늘었다.
30일 금융감독원이 공개한 '2024년 자산운용회사 영업실적'에 따르면, 자산운용사 당기순이익은 1조8099억원으로, 전년(1조6023억원) 대비 2076억원(13.0%) 늘었다.
펀드운용 및 일임자문 수수료수익 등이 증가하며 순이익이 늘었다. 작년 영업이익은 전년(1조5111억원)보다 1565억원(10.4%) 늘어난 1조6676억원이었다.
전체 490개사 가운데 흑자를 낸 운용사는 281사 적자를 낸 운용사는 209사로 파악됐다.
적자회사 비율(42.7%)은 전년(38.2%) 대비 4.5%포인트(p) 증가했다.
자산운용사 운용자산은 1656조4000억원으로, 전년(1482조6000억원) 대비 173조8000억원(11.7%) 증가했다.
작년 말 기준 펀드 수탁고는 1042조2000억원으로 이 중 공모펀드가 412조4000억원(39.6%), 사모펀드가 629조8000억원(60.4%)이었다.
특히 공모펀드가 83조2000억원(25.3%) 증가하며 최근 10년 새 최대 폭으로 성장했다.
금감원은 "이는 상장지수펀드(ETF) 시장 쏠림 현상에 기인한 측면이 있다"며 "공모펀드 수탁고 증가액 중 ETF 증가액이 52조5000억원으로 높은 비중(63.1%)을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투자일임계약고는 전년 대비 56조4000억원 증가한 614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금감원은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기조, 금리 및 환율변동 등으로 인한 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 자산운용사를 지속 점검할 계획"이라며 "ETF 등 전체 펀드시장을 면밀하게 살펴보는 동시에 지속적으로 자산운용산업의 건전한 발전 방향을 모색할 것"이라고 전했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금감원 "장기 논의된 상법개정, 재의요구로 원점 회귀는 비생산적"
- 금감원 "상장 전후 및 한계 기업 징후 회계심사 강화"
- "편하진 않다"…금융위원장·금감원장, 상법개정안 '같은 날 다른 목소리'
- 번지르르한 홈페이지 보고 투자했다가…금감원, 소비자경보 발령
- [양창욱의 야단법석(野壇法席)] “도대체 이복현이 누구길래”
- 끝날 때까지 모른다…'기각' 확신 국민의힘, 의견은 세 갈래로 [정국 기상대]
- 민주당도 尹 탄핵 각하·기각 이유 6가지 꼽는다?…장성민이 전한 野 분위기
- 박충권 "마은혁은 공산주의자" 선언…민주당 '발칵', 본회의장 아수라장
- '승부'로 기선제압, '로비'로 이어갈까… 장르의 온도차로 반격 나선 한국영화 [D:영화 뷰]
- ‘이걸 뒤집어?’ 흥국생명, 대역전극 만들며 우승 확률 8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