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뱅크, 'AI로봇 활용' 美 산업단지 건설 계획…"1470조원 투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일본 소프트뱅크그룹이 미국 전역에 인공지능(AI) 탑재 로봇을 활용하는 산업단지를 짓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30일 일본의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의 보도에 따르면, 손 회장은 가까운 시일에 미국을 방문해 AI를 활용하는 미국 내 산업단지 건설을 골자로 한 '인더스트리얼 파크 구상'을 제안하고, 트럼프 정부에 1조 달러(약 1470조원)가 넘는 투자를 약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동력 감소에 대응해 AI가 생산라인 설계"
[이데일리 이영민 기자]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일본 소프트뱅크그룹이 미국 전역에 인공지능(AI) 탑재 로봇을 활용하는 산업단지를 짓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산업단지에는 노동력 감소에 대응해서 인공지능이 수요를 예측하고, 생산라인을 설계하는 무인 공장이 들어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외신은 보도했다. 또 스마트폰, 자동차, 에어컨 등 폭넓은 제품의 생산에 AI를 활용해 인간의 일손을 줄이는 방향으로 공정을 바꿔나갈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소프트뱅크는 산하 비전펀드가 출자한 독일 로봇기업의 기술을 도입하고, 자율 주행하는 인간형 로봇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대만의 폭스콘(훙하이정밀공업)을 산업단지 건설 구상에 합류시키는 방안도 함께 고려하고 있다.
이 같은 대규모 투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각국을 상대로 예고한 관세인상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AI 로봇을 활용하는 공장을 지어서 일본이 미국의 제조업에 공헌한다는 인식을 심어주려는 의도가 있다는 것이다.
닛케이는 “관세 인상을 계기로 미국 밖에 있는 대형 제조업체가 대미 투자를 늘릴 것으로 보인다”며 “소프트뱅크는 인공지능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으로 이러한 흐름을 뒷받침하려 한다”고 해석했다.
소프트뱅크는 지난 1월 오픈AI, 오라클과 함께 미국 내 데이터센터 설립을 위한 합작회사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공개하고 앞으로 4년간 최대 5000억 달러(약 735조원)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새로운 산업단지 투자와 관련해 소프트뱅크는 프로젝트 파이낸스 방식으로 자금을 모으고,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투자 펀드로부터 직접 융자도 추진할 방침이다.
이영민 (yml1221@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런 상황에 산에서 담배를”…역대 최악 산불에도 ‘안전불감증’ [르포]
- '월세 1억3000만원' 내는 BTS 제이홉…부동산 투자 보니[누구집]
- “어떻게 ‘교사’가 학생을 죽입니까?”…명재완, 2018년부터 가정불화
- '팹4' 뜨고 부양책까지…중국으로 향하는 돈[돈창]
- 혼자 집에 있다 화재로 숨진 초등생…친모 ‘아동방임’ 송치
- 한예슬에 “이래서 양아치는 안돼”...‘무죄’ 뒤집힌 이유
- 달랑 순대 6개에 2만5000원?…벚꽃 축제 가격 논란
- "먹고 나면 속 편하대" 우르르…강남서 인기 '빵' 터졌다[르포]
- "상여금 때문에" 통상임금 확대 대기업이 타격 더 컸다
- 역대 최악의 산불로 서울면적 80% 4.7만㏊ 숲 잿더미(종합)